제주 청년들, “경제 안정·맞춤형 지원 필요”

제주 청년들이 초고령 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제주도의 현실을 직시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도의회(의장 이상봉)와 (사)제주지방자치학회(회장 김성준)는 15일 제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세미나실에서 ‘제12회 대학생 차세대 정책포럼’을 개최, 제주 지역 대학생들과 머리를 맞대고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포럼은 제주도가 직면한 고령화 문제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을 공유하고, 미래를 이끌어갈 주역으로서 정책 제안을 통해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 앞서 제주도 내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많은 청년들이 노후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경제적 안정’과 ‘건강 관리’를 꼽았다. 이는 고령층의 경제적 어려움과 건강 문제에 대한 청년들의 깊은 공감과 우려를 보여주는 결과다.

포럼은 두 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제주대 행정학과 2학년 고승완, 신하늘, 양예진 학생이 제주도 고령화 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한 심층적인 발표를 진행했다.
이들은 민기 제주대학교 명예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발표에서 고령화 사회의 특징과 제주도의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 선진 사례를 소개하며 지속 가능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김성준 회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두 번째 세션에서는 △제주관광대 김수현 △제주한라대 박정빈 △제주대 이지현, 임제헌, 신수진, 김민건 학생이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들은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경제적 지원 △의료·돌봄 서비스 강화 △여가 문화 제공 등 보다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며 제주도의 고령화 문제 해결에 대한 청년들의 높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보여줬다.
이상봉 의장은 “이번 포럼에서 제시된 대학생들의 의견과 제안은 제주도가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청년들이 정책 형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2012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대학생 차세대 정책포럼’은 제주 지역 대학생들이 지역 현안에 대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논의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원화자 제주도의원, 장애인 문화접근성 위한 노력 촉구
- 제주도의회, '지방의회 우수사례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 이경심 제주도의원, 도 감사위원 성별 균형 강화 조례 발의
- 제주도의회, 도 감사위원회 '남성 편향' 시정 주문
- 강성의 제주도의원,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개선해야"
- 제주도, 여성폭력추방 주간 맞아 인식 개선 캠페인 펼친다
- 제주도의회, 2024년 하반기 의정홍보 우수부서 선정
- 제주도의회, 제주형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 모색
- 김경미 제주도의원, '한국ESG대상' 의회 부문 '대상'
- 제주도의회 강경문, 강상수 의원, '2024 지방의회 최우수 의정활동 평가 대상' 수상
-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 대응방안 위한 연구 추진
-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분과 의정자문위 올해 첫 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