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친화도시 조성, 성주류화 정책 고도화

제주도(지사 오영훈)가 새해 성평등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여성친화도시 조성과 성평등 노동환경 구축, 성주류화 정책 고도화 등 전방위 노력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여성친화도시 조성에 전년 대비 8.2% 증가한 48억5천만원을 투입해 여성 대표성 강화, 안전한 환경 조성, 경제적 자립 지원 등을 추진한다. 성평등 정책과 문화 확산 사업 예산도 9.7% 늘어난 35억원으로 확대됐다.
성평등마을 조성...마을규약 개정
여성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여성 인재 데이터베이스를 확대 구축하고, 성평등 마을 조성사업을 통해 지역 단위 성평등 문화를 확산한다. 성평등 간담회, 리더십 강의, 연극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특정 성별이 일정 비율을 넘지 않도록 마을 규약을 개정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예정이다.
여성 범죄 예방과 안전한 환경 조성에도 힘쓴다. 안심 무인택배 보관함을 기존 16개소에서 18개소로 확대하고, 여성 1인 가구와 사업장에는 비상벨과 홈캠을 지원한다.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해 상담과 삭제 지원, 치유 프로그램 등을 강화하며, 스토킹·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긴급 주거 지원과 치료회복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성평등 노동환경, 경제적 자립과 임금 격차 해소
디지털 튜터 양성과 AI 마케팅 창업 과정 등 69개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 1544명의 직업 능력을 강화한다. 경력단절(보유) 여성에게는 인턴십과 고용 장려금을 지원하며, 고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12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 추가 장려금을 지급한다.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해 도내 공공기관 17곳을 대상으로 성별 임금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제주도의 성별 임금 격차는 전국 최저 수준(29.4%)이지만, OECD 평균(12.1%)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성주류화 정책 고도화...성평등 목표제 이행 실적 지표화
제주는 민선 8기 이후 양성평등위원회와 양성평등담당관제를 운영하며 성주류화 정책의 모델을 구축해왔다. 올해는 성평등 목표제 이행 실적 지표화와 성별영향평가 확대를 통해 정책 효과를 높인다.
특히, 500만원 이상 사업비가 투입되는 도정 홍보물 제작 시 성평등 관점을 반영해 성차별적 표현을 사전에 점검한다. 지역 축제의 안전관리 계획에도 화장실 불법 촬영 점검을 포함해 축제 참가자의 안전을 강화한다.
공무원의 성인지 역량 강화를 위해 성평등 언어 활용 가이드, 성인지 실무 지침서 등을 마련하고, 성평등한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교육도 진행한다.
“성평등 빛나는 제주 실현”
이은영 성평등여성정책관은 “제주는 전국 유일의 6년 연속 성평등지수 상위지역으로 입지를 다졌다”며 “세계적 수준의 성평등 제주를 실현하기 위해 정책의 효과를 도민들이 직접 느낄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직, 제도, 교육 전반에서 성인지 감수성을 높여 공직자와 도민 모두가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