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 탄소중립 목표 위해 환경부·국토부와 협력

제주도(지사 오영훈)가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탄소중립 선도도시(Net-Zero City)’ 조성 공모사업에 광역지자체 중 유일하게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도는 총사업비 6조 620억원 규모의 탄소중립 사업을 추진할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 중 3조 5750억원을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탄소중립 선도도시는 첨단 기술을 활용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 흡수를 극대화하는 미래형 도시를 의미한다.
도는 2020년에 수립한 ‘제주형 그린뉴딜 종합계획’에 따라 재생에너지 확대, 전기차 보급 등 다양한 기후변화 대응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왔다. 이번 사업 선정은 그간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결과라는 평가다.
이번 사업은 2030년까지 7년간 진행되며, 도는 이를 통해 지역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한 발 더 가까워지게 됐다.
도는 지난해 5월 해당 사업의 참여의향서를 제출한 이후, 2023년 12월 예비대상지 선정과 2024년 9월 서면평가와 현장실사, 10월 경진대회를 거쳐 최종 4개 지자체 중 하나로 선정됐다.
함께 선정된 지자체는 서울 노원구, 충남 보령시, 충남 당진시다.
이 사업은 2025년 12월까지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2026년 상반기 사업 규모 확정 및 협약 체결 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2031년부터는 사업 성과에 대한 평가와 모니터링이 진행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사업비는 기본계획 수립 이후 확정되며,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는 내년 12월까지 각 지자체의 사업제안서를 토대로 지원 계획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오영훈 도지사는 “제주도가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보다 15년 앞선 2035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것은 기후변화 대응의 시급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라며, “이번 선도를 통해 제주가 대한민국과 세계의 탄소중립을 견인하는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탄소중립을 넘어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제주가 가진 천혜의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기회로 평가받고 있다.
- ‘탄소중립’ 필요성 공감, 방법엔 이견 “태양광으로 비행기 못 띄워, 현실 고려해야”
- 성북구 녹색환경실천단, 겨울철 에너지절약 시민캠페인 전개
- 과천시 갈현동, ‘탄소중립과 1.5도 라이프스타일’ 강좌 진행
- 대한상의, 산림청과 ‘탄소중립·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 MOU
- 이경심 제주도의원, 도 감사위원 성별 균형 강화 조례 발의
- '제1회 제주해녀 장터 한마당' 개최...제주해녀 공동체 엿본다
- 대전 대덕구, SK이노베이션E&S와 RE100 신재생에너지 협약 체결
- 도봉구, 생활 속 탄소중립 정책으로 국무총리 표창
- 위성곤 의원, 제주도 생태법인 제도 도입 법안 대표발의
- '재생에너지고속도로’ 2법 국회 산자위 통과...탄소중립 이행 속도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