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가치! 성평등!’ 슬로건으로 양성평등주간 행사

제주도(지사 오영훈)는 2024년 양성평등주간(9.1~7)을 맞아 도 전역에서 다채로운 행사를 진행한다.
올해 슬로건(주제어)은 ‘제주 가치, 성평등!’으로 모두 같이 성평등을 실천해 제주의 가치를 높인다는 의미를 강조했다.
도민 참여형으로 기념식을 개최하는 한편 제주도·성평등협의회의 협업사업을 확대했다. 청소년 대상의 양성평등 문화행사도 추진한다.
기념식은 9월 2일 오전 한라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식전행사로는 차별과 차이가 아닌 인간다움의 가치를 실현한다는 주제로 여성 최초 강력계 형사인 박미옥 형사의 성평등 공감강연과 문화공연이 열린다.
본행사에서는 △양성평등진흥 유공자 표창 △성평등 제주가치 토크 △성평등을 향한 서명 퍼포먼스가 진행된다.
올해 양성평등 디딤돌상은 △고춘영(늘푸름교육봉사회장) △김민자(고향주부모임제주도지회서귀포분회장) △김보영(농가주부모임한경분회장) △김수정(여성중앙회제주시지회 사무국장) △김영미(김녕여성농업인종합지원센터장) △ 김희선(서귀포새로일하기센터 취업상담사) △김희순(한국생활개선서귀포시연합회장) △안선영(제주YWCA 가정폭력·성폭력통합상담소) △양성순(한국생활개선서귀포시연합회중부지부장) △양희주(제주여민회사무국장) △현희선(인화로사회적협동조합매니저) △제주도관광공사 △제주시한림읍금악리부녀회가 받는다.
양성평등 유공자상은 △한성욱(제주도성평등여성정책관주무관) △송유진(서귀포시여성가족과주무관) 공무원에게 수여된다.
‘성평등 제주가치 토크’는 ‘다름을 존중하는 행복한 제주’를 주제로 돌봄·경력단절·성평등 문화·여성안전·성주류화 5개 분야에 대해 도민이 묻고 오영훈지사가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성평등 실천 서명 퍼포먼스’는 모두가 양성평등 실천에 앞장선다는 의미로 참석자 모두가 참여하는 것으로 기획됐다.
또한 양성평등주간 동안 경찰·교육·언론 등 40개 공공기관으로 구성된‘제주도성평등협의회’가 주관하는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
9월 3일에는 △미디어 영역에서 바라본 젠더 이슈 특강(윤영미 전 아나운서) △차별에 대한 성평등 토크(오찬호 사회학 박사) △변화하는 성역할에 대한 비교 및 올바른 성평등 인식특강(이수연 한국워킹맘연구소장)이 진행된다.
그밖에 △양성평등 사진전 △엄마·아빠랑 함께 그리는 양성평등 그림전 △양성평등 자가진단 등 기관별로 특색 있는 기념행사와 함께 각 기관별 매체를 통한 다양한 방식의 홍보와 ‘성평등 8대 실천과제 다짐 캠페인’도 병행한다.
9월 1일 제주청년센터에서는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과 소통하는 ‘차 한잔의 성평등 토크 콘서트’와 ‘양성평등 진로 뮤지컬’ 등 청소년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은영 제주도 성평등여성정책관은 “양성평등주간 전후로 다양한 행사와 홍보활동을 통해 양성평등의 의미를 공유하고 확산할 예정”이라며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양성평등의 의미와 실천은 제주의 가치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한편, 양성평등주간은 2015년부터 7월 첫째주에 시행됐으나 202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인 ‘여권통문’을 발표한 1898년 9월 1일을 기점으로 2020년부터 9월 첫째주로 변경 지정됐다.
- 제주도 기초자치단체 부활할까?
- 제주도, ‘김만덕 국제상’ 만든다… 제주도의회, 조례 개정
- 제주 4·3사건, 혼인·입양 등 가족관계 회복의 길 열려
- 제주도 전 부서 양성평등담당관제 시행 5년, 연구 보고서 나와
- 제주도, 공공체육시설 이용지원으로 여성친화환경 조성
- 제주도, 여성 일자리 활성화 방안 등 논의의 장 마련
- 토론회부터 영화제까지···강북구,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 전남지역 지자체 ‘양성평등주간’ 다양한 기념행사
- 강남구, 양성평등주간 맞아 ‘다시, 꽃 피는 날’ 기념행사 개최
- 제주 해녀, 독도 바다에서 50년 전 물질 재현
- 제주도 여성공직자회 ‘참꽃회’, 추석 맞아 나눔 실천
- 제주여민회, '일상 대응력 향상 훈련'... 자기방어·경계 존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