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종 보급…여성가족부·한국여성인권진흥원 누리집서 진단 가능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여성가족부 복도 모습.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여성가족부 복도 모습. ⓒ연합뉴스

여성가족부는 교제폭력 피해자가 위험성을 스스로 인지하고,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교제폭력 피해 진단도구’를 전국에 보급한다고 28일 밝혔다.

앞서 지난해 6월 발표한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방안’의 후속 조치로 건국대학교 강소영 교수 연구팀은 일반 국민용(성인용·청소년용) 2종과 상담원용 1종 등 총 3종의 진단도구를 개발한 바 있다. 

진단도구 3종에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폭력 등 다양한 교제폭력 행위와 피해 유형이 포함돼 있다.

일반 국민용은 사용자가 자신의 경험을 기반으로 교제폭력 피해 여부를 자가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상담이나 신고 등 적절한 지원을 요청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담원용은 피해자에 대한 효과적인 상담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피해 경험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여가부는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전국 가정폭력·성폭력상담소, 대학 인권센터 등에서 시범 사용을 거쳐 교제폭력 유형별 발생 빈도 및 위험도 등의 사례를 분석해 진단표 문항 등을 보완했다.

또한 진단 결과에 따른 원활한 상담 및 피해 지원을 위해 올해 2월부터 피해지원기관의 상담원 등을 대상으로 진단도구 해설서 배포와 온라인 교육을 진행한 바 있다. 

여가부는 향후 현장의 다양한 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딥페이크 등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폭력 유형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진단 문항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조용수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은 “교제폭력은 조기 발견과 신속한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며 “‘교제폭력 피해 진단도구’를 활용해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피해자가 신속하게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진단도구는 여가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청소년 1388 누리집을 통해 성인, 청소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