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속에서도 높은 정원충족률 유지…폐원 위기 어린이집 지원 강화

서울시(시장 오세훈)는 13일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의 신규 공동체 25개(115개 어린이집)를 선정하며, 기존 80개 공동체에서 총 100개 공동체(418개 어린이집)로 확대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은 도보권 내 국공립·민간·가정 어린이집 3~5곳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 보육의 질을 높이고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신개념 보육 모델이다. 저출생으로 인해 영유아 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지난해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의 정원충족률은 77.6%로, 전체 어린이집 평균(70.7%)보다 7%p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시는 올해 신규 공동체를 선정할 때 정원충족률 50% 이하인 폐원 위기 어린이집이 포함된 공동체에 가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지원을 강화했다. 이에 따라 최종 선정된 25개 신규 공동체 중 15개가 폐원 위기 어린이집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3년간의 사업 지원이 종료된 기존 공동체에도 추가 지원을 제공한다. 시는 4년 차에 접어든 공동체를 ‘자립공동체’로 지정하고, 프로그램 운영비 등을 지속 지원해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운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자립공동체 중 우수 공동체를 선정해 신규 공동체 멘토링을 지원하며, 운영 성과 공유와 노하우 전수로 안정적인 보육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진행한 2024년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사업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양육자는 91.3점,어린이집 원장은 90.3점, 보육교사는 82.8점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보육교사의 만족도는 전년 대비 2.9점 상승했으며, 이는 보육교사들이 공동체 운영으로 보육 프로그램 공유와 전문성 향상 기회를 얻은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사업 성과 분석 결과 어린이집 운영 효율화, 보육 교직원 전문성 향상, 양육자 참여 확대, 지역사회 연계 강화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평가됐다.
시는 지난 12일 신규 공동체 실천 계획 워크숍을 열어 사업 비전과 운영 방향을 공유했다. 또한 지난해 지원 공동체 중 우수 공동체 6곳(24개 어린이집)에 서울 시장상을 수여하며 그간의 성과를 격려했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이 저출생 시대 속에서 새로운 보육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올해 100개 공동체로 확대 운영해 보육인, 학부모,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보육 모델을 정착시키고, 보육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 서울시, 외국인 가사관리사 정식 운영… 148가정에 돌봄 지원
- ‘서울형 늘봄+’ 확대…방과 후 돌봄 5700명으로 확대 운영
- “4050세대 취업 지원” 서울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개최
- 서울시, 미혼남녀 만남 행사 ‘설렘, 아트나잇’… 최종 22커플 탄생
- 서울시, 소상공인 출산휴업 지원…임대료·공과금 보장
- 서울시, 이주여성 출산·육아·건강관리 지원 확대
- 서울시, 4월부터 실버카 대여 시범사업 시행… 어르신 이동 편의 지원
- 서울시, 1인가구 위한 요리 클래스 운영…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
- 서울시, ‘시간제전문 어린이집’ 25개 자치구로 확대 운영
- 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사 82% 여성... 지난해 월평균 수입 201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