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 정부‧공공기관의 한부모가족 지원서비스 수록

여성가족부는 한부모가족을 위해 분야별 정부지원 복지서비스를 한 곳에 모은 ‘2025년 한부모가족 복지서비스 종합안내서’를 발간한다고 7일 밝혔다.
여가부는 한부모가족이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서에 17개 정부‧공공기관의 한부모가족 지원서비스 70개를 수록했다.
주요 내용은 △임신‧출산 △양육‧돌봄 △시설‧주거 △교육‧취업 △금융‧법률 등으로 지원 내용과 신청 방법을 함께 담았다.
먼저 임신‧출산과 관련해서는 진료비와 의료비 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출산 전‧후 입소 가능한 시설 등을 안내한다. 미혼부도 한부모가족 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자녀 출생신고와 출생신고 전 복지급여, 건강보험신청 절차를 수록했다.
양육‧돌봄의 경우 저소득 한부모‧조손가족을 위한 아동양육비 지원, 아동수당, 보육료 및 가정양육수당 등 복지급여 지원과 온가족보듬사업을 통한 사례관리, 아이돌봄서비스와 공동육아나눔터 등 돌봄 지원을 포함했다.
시설‧주거 분야의 경우 한부모가족의 안정적 자녀 양육에 필요한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공동생활가정형 매입임대주택, 공공주택 지원 등 주거 지원 서비스를 담고 있다.
교육‧취업와 관련해서는 학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청소년한부모를 위한 미혼모 대안교육 위탁기관과 자녀 교육비 지원, 자립을 원하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국민취업지원제도 정보를 안내한다.
금융‧법률의 경우 저금리 미소금융과 소액보험과 비양육부모의 양육비이행을 위한 법률 지원서비스, 무료법률구조 서비스 등에 관한 정보를 담았다.
이밖에도 저소득한부모 주택자금대여, 운전면허 무료교육 등 생활밀착형 지원서비스와 올해부터 한부모가족이 지원 대상에 포함되는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 내용도 수록됐다.
안내서는 여가부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센터 등 관련기관 누리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여성계 대표 한자리에…신영숙 차관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만들 것”
- 여가부, 취약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강화… 1인당 연 16만8천원 지원
- 여가부, 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 확대…양육비 지원금 늘린다
- [신년사] 신영숙 “여성·청소년이 의지할 수 있는 든든한 버팀목 되겠다”
- 여가부 “한부모가족·위기청소년·여성폭력 피해자 지원 성과”
- 양육비 안 준 부모 157명… 출국금지·운전면허 정지 등 제재
- “한부모가족 상담은 1577-4206”…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상담전화 번호 변경
- 경기도, ‘양육비 청구 소송비 지원’ 전국 첫 도입…한부모가족 권익 보호 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