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 페럼홀
제26회 양성평등 미디어상 시상식
'친족성폭력 그 이후' 기획 시리즈
보도부문 여성가족부 장관상

여성신문 신다인 기자가 '친족성폭력 그 이후' 기획 시리즈로 양성평등 미디어상 보도부문 최우수상(여성가족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은 지난 5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 페럼홀에서 제26회 양성평등 미디어상 시상식을 열고 우수 방송·보도물 24편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은 이날 '친족성폭력 그 이후' 기획 시리즈에 대해 “과거 그리고 현존하는 성폭력 피해자의 인권문제를 공론화 시켰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방송부문 대상(대통령상)은 '어머니의 된장국: 가사노동 해방일지;(KBS)가 수상했다. 방송부문 최우수상(여성가족부장관상)은 다큐24 '당신은 요즘아빠인가요?'(YTN) 외 6편이, 우수상(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상)은 더 보다 17회 '누구냐 넌? 딥페이크의 덫'(KBS) 외 5편이 선정됐다.
보도부문 대상(국무총리상)은 '2024 대한민국 출산·출생 팩트체크 문답(노컷뉴스)'이, 최우수상(여성가족부장관상)에는 '친족성폭력 그 이후'(여성신문) 외 4편이, 우수상(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상)에는 '불법 성산업의 공범들'(한겨레21) 외 3편이 이름을 올렸다.
양성평등 미디어상은 양성평등 가치 확산에 대한 언론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고, 우수 프로그램과 보도물을 널리 알리기 위해 1999년 제정됐다.
제26회 양성평등 미디어상 수상작 자료집은 양성평등교육진흥원 홈페이지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본지 신다인 기자 ‘아동학대예방 우수보도상’
- 광장에 나온 지 3년, 친족성폭력은 ‘작은 흠집’이 됐다
- [단독] 친족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 10명 중 1명 ‘이주배경’
- 친족성폭력 피해 말하기까지 17년 걸려... 쉬쉬하다 공소시효 끝난다
- 친족성폭력 피해 아동 지원시설 전국에 4곳뿐… ‘홀로서기’ 도울 정책 강화해야
- 친족성폭력 피해자도 시설 퇴소 후 자립지원금 받는다…5년간 월 50만원
- “친족성폭력 공소시효 폐지, 피해자 위한 최소한의 안전망”
- 친족성폭력 피해자도 자립지원금 받을 수 있게 된다… 정춘생, 법안 발의
- ‘가족문제’ 되는 오빠 친족 성폭력… “별 일 아냐” 부모 말에 피멍드는 피해자
- [친족 성폭력, 그 이후의 삶] 자립수당 못 받는 친족성폭력 피해자, ‘홀로서기’ 지원해야
- [친족 성폭력, 그 이후의 삶] 가족에서 벗어난 아이들은 서로를 보듬는다
-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원격교육연수원, 교육부장관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