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럽, 대선 직후 유권자 1003명 조사 결과

제21대 대선에서 유권자들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내란 종식’과 ‘국정 운영 역량’을 기대하며 투표한 반면, 김문수 전 국민의힘 후보에게는 ‘청렴성’과 ‘이재명에 대한 반감’을 이유로 투표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갤럽이 대선 직후인 4~5일, 투표에 참여한 전국 유권자 1,003명을 대상으로 특정 후보 지지 이유, 비지지 이유를 물은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에게 투표한 응답자(420명)는 ‘계엄 심판·내란 종식’(27%)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이어 ‘행정 능력’(17%), ‘경제 정책 기대’(15%)가 뒤를 이었다.
김문수 후보 지지자(350명)는 ‘도덕성·청렴성’(33%), ‘이재명이 싫어서’(30%), ‘신뢰·정직성’(28%) 순으로 답했다.
투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응답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재명 비투표자(430명)는 ‘사법 리스크·범죄 혐의’(30%), ‘신뢰 부족’(18%)을 지적했다. 김문수 비투표자(500명)는 ‘계엄 옹호·내란 동조’(30%), ‘국민의힘 반감’(19%) 등을 이유로 들었다.
한국갤럽은 “이재명 비투표 이유로는 개인사 관련 지적이 많고, 김문수 비투표 이유에서는 소속 정당 문제 비중이 크다는 점이 대비된다”고 분석했다.
당선 가능성을 믿고 투표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63%였다. 이재명 투표자 중 90%는 당선을 확신했지만, 김문수 투표자 중에서는 ‘당선 가능성 있다’(45%)와 ‘그렇지 않다’(48%)가 엇비슷하게 나타났다.
후보 선택에 참고한 정보원은 ‘TV토론’(45%)이 가장 많았다. ‘신문·방송 보도’와 ‘유튜브’는 각각 27%로 뒤를 이었다. 특히 이준석 투표자 10명 중 8명은 TV토론을 주요 참고 자료로 삼았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2.3%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