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 분향소서…진상규명․재발방지 촉구

179명의 소중한 목숨을 앗아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49일째인 15일 희생자들을 기리는 49재 합동위령제가 전남 전남 무안국제공항 분향소에서 거행됐다. 전남도
179명의 소중한 목숨을 앗아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49일째인 15일 희생자들을 기리는 49재 합동위령제가 전남 전남 무안국제공항 분향소에서 거행됐다. 전남도

179명의 소중한 목숨을 앗아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49일째인 15일 희생자들을 기리는 49재 합동위령제가 전남 전남 무안국제공항 분향소에서 거행됐다.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국토교통부 주최하고 전남도와 광주시, 무안군이 주관한 이날 행사는 유가족과 국회의원, 정부·지자체·시도의원 등이 참석해 고인의 안식을 빌었다.

종교인들도 망자의 극락왕생을 비는 불교식 장례 의식인 49재에 함께 했다. 

유가족의 헌화·분향으로 시작한 49재에서 희생자 179명의 이름과 조문객, 유가족 메시지가 무대 LED에 띄워지자 유가족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49일간의 유가족 모습이 대형스크린을 통해 영상으로 송출되자 곳곳에서는 울음소리와 오열이 터져 나왔다.

참사 당시 사고 현장에 투입돼 수습했던 소방 공무원들, 유가족들을 지원했던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도 49재에 참여해 희생자들을 애도했다.   

추모사에서 박한신 유가족 대표는 “사랑하는 이들이 왜 그렇게 떠나야 했는지 반드시 그 진실을 밝히고, 책임질 사람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한민국의 항공 안전을 비롯한 전반적 안전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꿔 소중했던 이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49재 합동위령제에 함께한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도 “철저한 조사로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 안전을 강화하겠다"며 "무엇이 잘못됐고 바뀌어야 하는지 그 답을 찾을 때까지 유가족의 편에서 함께 하겠다”고 약속했다. 

추모사에 이어 기독교와 불교, 천주교가 각각 저마다의 예법에 따른 종교별 위령제 의식으로 고인의 명복을 기원했으며, 망자의 한을 풀어주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씻김굿으로 49재 합동위령제가 마무리됐다.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께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무안공항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7C2216편이 동체 착륙을 시도하다 방위각시설인 로컬라이저와 충돌하는 사고가 났다.

이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승객 175명과 조종사·승무원 각 2명 등 179명이 현장에서 사망했고, 2명(승무원)은 기체 꼬리 쪽에서 소방 당국에 의해 구조됐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