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근로자 대상 초역세권 공공임대주택 254호 공급 예정

서울 금천구(구청장 유성훈)는 금천구청역 인근 부지가 지난 1월 14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지역제안형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사업’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지역제안형 특화 공공임대주택’은 지자체 등 공공임대주택 사업 시행자가 지역의 수요에 따라 입주자 자격, 선정 방법, 거주기간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주택이다.
부지는 코레일(한국철도공사)가 보유한 노는땅(유휴지)이다. 이 부지는 그동안 철도 이용객의 편의와 지역 발전을 위해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구는 2018년 11월 한국철도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와 금천구청역 일대 복합개발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래, 개발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일정 소득 수준을 갖춘 중산층 청년(19~39세) 근로자를 대상으로 초역세권 특화 공공임대주택 254호를 공급한다. 또한 운동시설과 스터디룸 등 MZ세대가 선호하는 주거 지원시설을 조성할 예정이다.
사업을 제안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중 특화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실시설계를 완료했다. LH는 2026년 착공, 2029년 상반기 준공·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금천구에는 서울 유일의 국가산업단지인 G밸리가 있으며, 약 15만명의 근로자가 상주하고 있어 특화 공공임대주택이 들어서면 G밸리 청년 근로자들의 직주근접과 주거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급 대상지와 인접한 금천구청역사와 옛 연탄공장 부지의 개발 사업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금천구와 한국철도공사는 작년 4월, 국민권익위원회 주관하에 신속한 금천구청역사 복합개발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조정서에 합의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올해 상반기 중 금천구청 역사 복합개발에 대한 기본구상(안)이 마련되면, 즉시 민간사업자를 공모해 선정하고 개발을 위해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유성훈 구청장은 “앞으로도 개발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민의 주거 여건을 개선하겠다”라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금천구청 도시계획과(☏2627-2083)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