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 사용 실시간 모니터링, 영수증 인식, 지출증빙 등 행정혁신

2025년 AI플랫폼 고도화 사업계획 이미지 ⓒ경기도
2025년 AI플랫폼 고도화 사업계획 이미지 ⓒ경기도

경기도(지사 김동연)는 올해부터 아동급식지원플랫폼(씨앗밥상)에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도입한다고 1일 밝혔다.

결식아동 단체급식의 질과 급식지원 사업의 전반적인 투명성을 높이는 동시에, 급식지원 업무의 혁신 및 보조금 관리 효율화 등 아동급식 지원 분야에서 혁신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AI 기반 시스템은 급식재료 구매 영수증 인식은 물론 구매내역 분석과 이상거래 탐지, 지출 증빙, 센터 출결시스템과 연계한 식수인원 확인까지 모든 과정을 자동화해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을 크게 개선한다. 또한 불용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예산 예측도 제공해 예산 집행의 정확성을 높인다.

아동급식카드 부정 사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전망이다. 기존에는 심야시간 거래나 아동이 이용하기 부적합한 가맹점에서의 사용 등은 신고에 의존하거나, 담당자의 의심 내역 추출 후 확인을 통해서만 관리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AI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의심 거래를 자동 식별할 수 있다. 과거 거래 데이터를 학습해 거래 패턴을 예측할 수도 있어 부정 사용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축감에 상담을 기피했던 아동들은 언제든지 AI 상담사와 챗봇을 통해 익명으로 24시간 365일 편하게 상담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 전문 영양사가 없는 지역아동센터에서는  AI를 통한 영양분석과 식단 추천을 통해 아동들의 건강에 맞춘 균형 잡힌 급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은주 도 아동돌봄과장은 “이번 AI 시스템 도입으로 아동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건강한 급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도 아동들에게 보다 나은 급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