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15일 통합지원사업 성과보고회 개최
올해 피해자 174명에 통합서비스 지원
신영숙 차관 “피해자 지원 사각지대 최소화”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여성가족부 복도 모습.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여성가족부 복도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2025년 ‘여성폭력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사업’ 운영기관을 기존의 5곳에서 11곳으로 확대한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오는 15일 서울 중구 이엔에이(ENA) 호텔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통합지원사업 성과보고회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통합지원사업은 여성폭력 복합피해자에 대한 지원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서비스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복합피해자가 일일이 지원기관을 찾아다니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통합지원사업은 지난해 2개 시·도 시범운영을 거쳐 올해 5개 시·도로 확대돼 운영되고 있다. 올해 복합피해 등 고난도 피해자 174명에게 838건의 통합서비스를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가부는 현재 통합지원사업에 대한 시·도 공모를 진행하고 있으며, 심사를 거쳐 수행기관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성과보고회에서 내년도 참여를 희망하는 지역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5개 운영기관의 복합피해 지원, 상담소·보호시설 미설치 지역 찾아가는 서비스, 광역 단위 협력체계 구축 등 우수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다양한 유형의 폭력을 함께 경험하는 피해자들이 폭력 유형에 따라 여러 기관을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이제 한 곳에서 통합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며 “향후 통합지원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사업의 효과성을 면밀히 살펴 피해자 지원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신보라 진흥원 원장은 “내년에 사업이 11개 지역으로 확대되는 만큼, 사업 수행기관의 역량강화를 위해 교육, 슈퍼비전, 사례연구 등 사업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