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보고서, 95년 북경대회 이후 두드러져

세계 각국의 여성정책 전문화와 관련 기구의 강화 움직임이 두드러지

고 있다.

최근 유엔에 따르면 116개국 중 80%가 넘는 93개 국가가 여성정책기

구를 신설 또는 강화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87개에 달하는

국가에서는 이미 여성정책기구를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여성정책기구들은 60% 이상이 지난 95년 북경에서 열린 제4

차 세계여성회의 이후 설치 혹은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

는 상대적으로 여권이 약한 국가들에서 두드러진다.

가나의 경우, 대통령 직속으로 정부내 최상위에 여성정책기구를 두어

모든 정부 기관과 직접 연계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알바니아는 여성

정책기구의 제도적 틀을 보강, 내각회의 수준으로 기구를 격상시켰다.

그레나다에서는 여성정책기구의 인원을 7인에서 지난 97년 26인으로,

자메이카에서는 새로운 부지를 획득해 시설을 개선하고 인원을 증원하

는 등 정부의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이와 함께 유엔 아·태경제사회이사회(ESCAP)에서도 지난 해 10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태여성발전고위급회의를 통해 여성정책기구를

유형별로 분류했다. 유형별 분류 비율은 △여성단체형이 2%로 라오스

가 이에 속하고 △여성위원회 및 총리실·대통령실·내각의 여성 부서

형태는 40%로 호주, 일본, 필리핀, 태국, 한국 등이 속했다. 또한 △여

성담당 장관 형태는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사모아, 네팔 등으로 26%

를 차지했고 △일반 부처 내 여성 부서 형태는 28%로 인도, 말레이시

아 등이 속했다.

여성정책기구는 116개 국가 중 3분의 1이 민간 혹은 민·관 복합형태

로 구성돼 시민사회와의 파트너십이 여성정책기구 강화에 중요한 역할

을 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정책기구의 최대 난관으로는 정부정책의 우선 순위 사업에서 밀려

나 만성적인 재원 부족과 인적자원 부족에 시달리는 점이 지적됐다.

'김강 성숙 기자 nnykang@womennews.co.kr'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