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자폐증 등 정신질환에서 발견되는 사회성 결여의 원인을 밝혀냈다. ⓒYTN 화면 캡쳐
국내 연구진이 자폐증 등 정신질환에서 발견되는 사회성 결여의 원인을 밝혀냈다. ⓒYTN 화면 캡쳐

 

국내 연구진이 생쥐실험으로 사회성 부족의 원인을 밝혀내 자폐증 등 정신질환의 치료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뇌질환연구단(단장 김은준 KAIST 교수)은 생쥐실험을 통해 사회성 부족 증상의 발생 과정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자폐증, 뇌졸중, 만성통증 등과 깊은 관련이 있는 유전자는 'IRSp53'이다. 실험 결과 이 유전자가 결손된 생쥐의 경우 사회성이 결여돼 낯선 생쥐에 관심이 없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 신경전달물질(NMDA 수용체)의 기능이 과도하게 증가한 것이 원인이었다.

이에 연구단이 약물로 NMDA 수용체 기능을 약화시킨 결과 생쥐들이 낯선 생쥐를 탐색하는 등 관심을 보였다. 사회성이 회복된 셈이다. NMDA 수용체 기능이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면 사회성이 결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 연구단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2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