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당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여야 여성 대표 시대가 열렸다. 집권당인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박근혜 전 대표이고 최근에 막을 내린 민주통합당 전당대회에서 한명숙 전 총리가 초대 대표로 선출됐기 때문이다. 더구나 통합진보당 3인 공동 대표 중 두 사람이 여성이다. 물론 이런 여야 여성 대표 시대가 도래한 것은 무엇보다 이들 여성 정치지도자들의 경륜과 리더십이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한국 정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꾸고 진정한 양성평등을 실현하라는 국민적 요구와 시대정신이 반영된 것이다.

박 위원장은 여성신문이 주최한 신년하례식에서 “여성의 삶의 질이 높아야 국민이 행복하고 국가경쟁력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최근 국회에서 박 위원장을 만난 한 대표는 “사상 처음으로 여야 대표가 모두 여성이 됐는데 2012년은 여성들이 국민의 삶을 책임지고 정치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해가 될 것이란 생각이 든다”고 했다.

여성 정치인들이 이런 막중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대표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의 여성권한지수는 바닥을 헤매고 있다. 한나라당 비상대책위는 현역 의원 중 25%를 4월 총선 공천 대상에서 제외하고, 지역구 공천 방식을 개방형 국민경선 80%와 전략공천 20%로 정했다.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지역구 여성 공천을 30%로 하고, 지역구 후보 경선 시 신인 여성들에게 20%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한편 민주통합당은 전당대회 이전부터 지역구에 여성을 15% 공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다만 한 대표는 최근 “전략공천을 최소화하고 완전 국민경선으로 공천권을 돌려드리겠다”고 했다. 그렇다면 여야 모두 완전국민경선제가 대세다. 문제는 이런 경선제도가 조직과 자금에서 열세인 여성들의 참여 확대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오프 프라이머리가 정착된 미국의 경우, 정치 신인들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예비선거를 준비하며 상시 선거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역 의원과 경쟁해도 여성에게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여성들이 전혀 준비돼 있지 않은데 달랑 가산점만 줄 테니 경선에 참여하라는 것은 경선에 나가 장렬하게 전사하라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런 구조 속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대폭 확대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현역 의원이 사전에 배제된 지역구에 여성 후보자들끼리 경쟁하도록 하는 것이고, 또 다른 방안은 열세 지역이 아니라 당선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폭적으로 여성을 전략 공천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방안 모두 여야 대표의 고뇌와 결심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그동안 한국 정치가 힘(Power)에만 의존하고, 진보와 보수 간 이념적 양극단(Polarization)의 대결에 매몰되고, 종종 포퓰리즘(Populism)에 의존하는 ‘3P 정치’였다. 이제 한국 정치는 타협(Compromise), 협조(Co-operation), 합의(Consensus)가 토대가 되는 3C 정치로 바뀌어야 한다. 그런데 한국 정치가 3P 정치에서 3C 정치로 전환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여성의 대표성을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우리는 단순히 여성이 동시에 당 대표가 됐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진정 바라는 것은 여야 여성 대표가 지금까지 한국 정당에서 한 번도 해보지 못한 정치개혁과 양성평등을 실현시켜 뒤틀리고 왜곡된 정치를 정상화시키는 것이다. 분명 여성의 대표성이 확대되면 정치가 정상화되고, 정치가 정상화되면 국민이 정치에 희망을 가질 수 있다.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gabapentin generic for what http://lensbyluca.com/generic/for/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