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제2)장관, 1989년 여성단체 관계자 3만5천명 만나

초창기 정무(제2)장관실의 업무보고에는 ‘여성계 정무활동’이 거의 고정적인 항목으로 포함되었다. 대통령은 물론 국회에 보고하는 자료에도 빠지지 않는 것이 여성계 정무활동이었다.

정무(제2)장관실은 초창기부터 직원들이 정책부서와 정무부서로 사실상 나뉘어 일을 했는데, 전자가 내근 부서라면 후자는 외근 부서에 해당되었다. 외근 부서에서 하는 주된 일이 바로 장관의 대여성계 정무활동을 뒷받침하는 일이었다. 1989년 한 해 동안 정무장관은 여성단체의 순방과 행사의 격려, 강연회와 토론회 실시, 전국 시·군 지역 방문 등 총 204회에 걸쳐 3만5000여 명을 대상으로 정무활동을 전개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문민정부 시절 권영자 정무(제2)장관이 국회에서 업무보고를 하면서도 각 분야 여성계와 지방 여성계 정무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하루는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김중위 의원이 질문을 한다. “여성계, 여성계 하는데 도대체 여성계가 뭐요? 실체가 있기나 한 겁니까?” 이에 대해 권 장관은 “‘여성계’라 함은 주로 여성단체를 말하는데 여기에는 여성학자 등 전문가도 포함됩니다”라고 답변한다. 한 마디로 여성계의 실체는 여성단체라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여성계의 주요한 구성체로 가시화된 여성단체는 그동안 여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화와 여론수렴의 대상으로서 뿐만 아니라 국민운동 추진체로서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가져 왔다.

정무(제2)장관실은 1993년을 기점으로 정책 파트너로서 여성단체의 역할 제고에 나섰다. 제고 방안으로 제시된 아래 네 가지는 지금도 정부에서 여성단체와의 협력 네트워크 기조로 삼고 있다.

첫째, 여성단체 스스로가 자율적 조직과 운영원칙에 충실하여 단체의 설립목적을 살릴 수 있는 전문 영역에서 독창적 사업개발에 주력해 나가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 둘째, 단체의 전문적이고도 지속적인 공익사업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에서 행·재정적 지원방안을 적극 강구토록 하고 특히 정부의 여성 관련 사업이나 시설을 여성단체가 위탁·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도록 지원한다. 셋째, 주요 현안 여성문제 해결 모색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토론회, 연구용역 등을 여성단체와 공동으로 추진한다. 넷째, 여성단체의 근검절약, 환경보전, 도덕성 회복 등 자율적 국민의식 개혁 실천운동을 지원함으로써 여성의 참여와 기여를 높인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여성단체를 지원하는 여성발전기금이 창설되었고 정부의 여성인력개발센터, 영유아보육사업, 건강가정지원센터 등 관련 사업과 시설을 수많은 여성단체들이 위탁·수행하고 있다. 정부등록 여성단체는 1993년 당시 13개 부처소관 75개 단체에서 2008년 현재 19개 부처소관 110개 단체로 늘어났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