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농업인을 만나다 (1) ‘수제치즈 만들기’ 집념 조옥향 은아목장 대표

“한·미 FTA가 체결되면 대부분의 농·축산물이 ‘가격’에서 경쟁력을 갖기는 어렵죠. 하지만 ‘맛’이라면 얘기가 다릅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농가의 ‘블루오션’입니다.”

그림을 그리던 스물아홉 서울 주부가 목장을 일구겠다며 남편까지 설득해 경기 여주 땅으로 귀농한 지 26년째. 한국 낙농업계의 대표적인 여성 경영자 조옥향(53) 은아목장 대표가 9월 ‘수제 치즈’를 선보일 준비에 여념이 없다.

지난 83년 3마리에서 시작해 현재 165마리 젖소에서 연간 9000~1만㎏의 우유를 생산하고, 종축 개량을 통해 국내 최고의 젖소 보유 기록을 가진 중견 목장으로 성장한 은아목장은 지난 8월 내내 ‘치즈공방’과 ‘정원 가꾸기’ 공사를 벌였다.

“국내산 원유의 98%가 1등급 우유라는 것을 아는 소비자가 얼마 없는 것처럼, 고품질 우유를 맛으로 가려낼 수 있는 소비자는 거의 없다”는 조 대표는 “체험목장을 열면 적어도 방문하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품질의 우유와 치즈를 맛보게 할 수 있다”며 환한 미소를 짓는다.

조 대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되면 본격적으로 외국의 우유 및 유가공 제품이 수입되겠지만, 이들 제품은 신선도가 생명인 만큼 기술만 있다면 충분히 고급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기 위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대화를 나눠야 한다. 그의 체험목장은 바로 대화의 공간이 될 것이다.

조 대표의 치즈 만들기는 10년 전부터 시작됐다. 지난 96년 우량 젖소 품평대회인 ‘한국홀스타인 품평회’에서 챔피언을 획득하고, 부상으로 가게 된 일본 연수. 그곳에서 조 대표는 일본 목장주로부터 “부부 둘이 1톤의 우유를 생산했을 때 4식구가 먹고 살았는데, 그 1톤으로 치즈를 만들었더니 50명이 먹고 살 수 있더라”는 말을 들었다.

단순히 우유 생산에만 주력하던 우리의 낙농업 현실에 하나의 지침과도 같은 말이었다. 그때부터 ‘수제 치즈’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다. 아이들 뒷바라지에 목장 일이 산더미인 상황에서 유학은 꿈도 꿀 수 없는 터라 일본, 독일, 프랑스 등 수제 치즈 관련 단기 강좌를 찾아다니며 배웠다. 그 시간들을 다 합하면 꼬박 2년 동안 유학을 한 셈이다.

“유럽 연수에서 배운 것은 중·소 낙농가들도 노하우 하나로 고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거였어요. 제조자마다 조금씩 다른 손맛이 부가가치가 되죠. 전라도 김치, 경기도 김치 맛이 다르고, 그 차이가 상품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예요.”

9월부터 ‘축산물가공처리법’의 개별 목장 유가공 제품 생산 및 판매에 관한 조항이 완화됨에 따라 본격적인 솜씨를 뽐내볼 생각이다. 얼마 전 직접 만든 치즈를 들고 이탈리아 전문 식당을 찾았다. 이탈리아에서 수입해 온 치즈와 국산 치즈로 조리한 후 맛 평가를 부탁하기 위해서다. 결과는 조 대표의 치즈가 우승이었다. 이 자신감을 바탕으로 그는 앞으로 치즈, 버터,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 은아목장의 브랜드를 하나 둘 선보일 계획이다.

조 대표의 둘째 딸은 요즘 일본 ‘낙농학원대학’에서 ‘치즈 공부’ 중이다. “엄마처럼 살고 싶다”고 일찌감치 농업고등학교로 진출한 딸은 “엄마표 수제치즈를 들고 세계로 진출하겠다”는 야무진 목표도 세워놓은 상태다. 그런 딸이 한없이 자랑스럽다는 조 대표는 “남편과 함께 텐트 생활을 하며 맨손으로 일군 목장을 딸이 이어가겠다고 해서가 아니라 어린 딸이 농업의 비전을 일찌감치 알아봤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한국 농업의 희망은 여성과 가공산업(부가가치형 상품 개발)에 있다”고 단언하는 조 대표는 “여성 농업 인재를 키워내기 위한 교육정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조 대표는 요즘 두 달에 한 번씩 중국 지린(吉林) 성에서 ‘낙농기술’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가 고문으로 참여하고 있는 한 축산사료 회사가 주최한 교육행사인데 현지의 반응이 대단하다. 중국 정부에서도 목장을 마련해 줄 테니 직접 경영하며 기술을 전수해 달라고 권하고 있다. 새로 치즈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선뜻 제안을 받아들이지는 않고 있지만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낙농 후진국에 한국의 낙농기술을 전수하는 것도 결국 우리 농가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신중히 고려 중이다.

“한·중·일 세 나라 모두 농업인, 특히 여성 농업인은 더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어요. 하지만 여성이 농업의 ‘희망’이라는 점도 공통점이지요. 여성들은 원래 서로 돕고 배려하는 특성이 있잖아요. 국제 교류를 통해 더 발전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드는데 한번 도전해 볼까요?”

조 대표가 여성 농업인의 저력을 어디까지 보여줄지 자못 궁금해진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