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에 대한 투자가 우선…연금 보장성 보험은 필수

저출산 고이혼율에다 초혼연령이 높아지고 통과의례로 여기며 ‘결혼’에 편입되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는 요즘, 젊을 때부터 각자의 노후를 준비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2004년 보건복지부의 ‘고령화·정보화 시대의 신 효문화 실천방안 연구’에 따르면 조사대상자들의 다수가 ‘가족이 노인을 돌봐야 한다’고 답해 부양의 책임이 일차적으로 가족에게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양책임이 전적으로 가족에 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나라와 사회의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루었다.

비혼 여성 임현주(31)씨는 “현재 결혼에 대해 구체적인 생각은 없지만, 나 자신을 위해 종신보험, 암보험, 연금성 상품에 월급의 상당한 금액을 지불하고 있다”며 “건강한 노후 생활을 위해서는 경제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한다. 기혼 여성 안명희(31)씨는 “결혼생활 중 이혼이나 사별할 수도 있기 때문에 노후까지 안 가더라도 여성의 경제력은 필요조건”임을 강조한다.

기혼 여성 윤지현(34)씨는 “자식에게 노후를 기대하고 있진 않지만 앞으로 독신 노인이 증가할 경우 이들을 돌보기 위한 사회적 비용을 우리 자식들이 떠안아야 하는 게 억울하다”고 말한다.

한편 여성단체들도 여성 기초연금제나 사회적 일자리 창출 등 기존의 정책적 관심에서 벗어나 노년의 삶에 대해 철학적 고민을 본격적으로 하고 있다. 관련 프로그램을 주관하는 실무자들의 나이가 3040을 넘어가고 있기에 남의 일 같지 않은 데다가 같은 맥락에서 회원단체들의 관심도 뜨겁다는 후문이다. 이들은 ‘여생’ ‘노후’ 등 관련 통상용어 사용의 부조리를 지적하기도 하고, 효의 영어식 발음 ‘HYO’는 ‘Harmony’와 ‘Young & Old’의 약어라는 식의 해석을 시도하기도 한다.

여성연합은 4월 14일 노인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1차 워크숍을 열었고, 10월 2차 워크숍을 준비 중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