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후 서울 한 대형병원에서 한 환자가 다른 병원 전원을 위해 구급차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22일 오후 서울 한 대형병원에서 한 환자가 다른 병원 전원을 위해 구급차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사직서를 낸지 닷새째를 맞았으나 집단행동이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서울대 교수들이 가세하겠다고 예고하는 등 더 복잡한 양상으로 바뀌고 있다.

정부의 의대증원 정책에 반대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이 계속되자 정부는 전날 보건의료 위기로는 사상 처음으로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까지 끌어올렸다.

정부는 전날 오전 8시부터 보건의료 재난경보 단계를 기존 '경계'에서 최상위인 '심각'으로 끌어올리고,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이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설치했다.

정부가 주동자에 대한 구속수사 원칙 등 '엄정 대응'을 강조하고 있지만, 집단행동에 나선 전공의의 수는 줄지 않고 전체의 3분의 2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 기준 주요 94개 병원에서 소속 전공의의 약 78.5%인 8897명이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이 낸 사직서는 수리되지 않았다.

사직서 제출 후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는 69.4%인 7863명으로 확인됐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구성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이번 주말까지 전공의들이 납득할 만한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이들과 행동을 같이하겠다"고 경고했다.

서울대 의대 비대위는 23일 입장문을 내고 "주말 동안 한 걸음도 나가지 못한다면 누구도 해결할 수 없는 파국이 닥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제한적이나마 돌아가고 있던 병원의 진료가 이대로 간다면 열흘도 버티지 못할 것"이라며 "파국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이날 설치 후 첫 조치로 의사 집단행동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비대면 진료는 그동안은 '의원급' 의료기관과 '재진' 환자를 중심으로 하되, 예외적으로 의료취약지나 휴일·야간에는 초진부터 허용됐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는 극히 일부만 가능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날 전공의 집단행동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강경대응이 아니라 원칙대응"이라면서 "이번에는 잘못된 행동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경대응 원칙을 다시 강조했다.

조 장관은  JTBC 뉴스에 출연해 "정부가 취하는 조치는 의료법 등에서 정부에게 부여하고 있는 의무"라며 "법에 따라 명확하게 정부의 입장 말씀드려야 국민과 의료인이 정확하게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조장과은 "(이번에는) 과거와 다를 것"이라며 "정부의 대응 방침은 확실하다. 잘못된 행동에 합당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