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유엔여성기구 정책포럼
전문가들 “민간 기업 역할 중요”
“ESG, 중소협력업체로 확산해야”

24일 기업·정부·학계·국제기구 관계자들이 ‘제3차 정책포럼: 성별 임금격차 해소와 여성의 경제적 역량강화 논의’ 정책포럼에 참석해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유엔여성기구/김하늬)
24일 기업·정부·학계·국제기구 관계자들이 ‘제3차 정책포럼: 성별 임금격차 해소와 여성의 경제적 역량강화 논의’ 정책포럼에 참석해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유엔여성기구/김하늬)

한국은 OECD 국가 중 성별 임금 격차가 가장 큰 나라다. 고질적인 성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SG 지표와의 연계를 통해 임금 격차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센터장 이정심, 이하 센터)는 24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해 기업을 비롯한 정부와 국제기구의 참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성별 임금 격차는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클라우디아 골딘 하버드대 교수의 연구 주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열린 ‘제3차 정책포럼: 성별 임금 격차 해소와 여성의 경제적 역량강화 논의’에는 국제노동기구(IL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엔여성기구(UN Women) 등 국제기구 소속 전문가와 외교 공관 관계자, 학계 관계자 등 60여명이 참여했다. 포럼은 성별 임금 격차의 현황과 임금 격차 측정 방식을 보고, 격차 해소를 위한 기업·정부·국제기구의 이니셔티브를 논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성별 임금 격차는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저해하는 대표적 요소로 꼽힌다. 2021년 기준으로 OECD 회원국의 임금 격차는 11.9%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한국의 임금 격차는 31.1%로 OECD 회원국 중 격차가 가장 크다.

기조발표자로 나선 염유식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성불평등에 관한 논쟁이 지속되는데도, 시간과 재원을 들여 적합한 실증자료를 수집하고 제대로 분석하는 연구는 기대만큼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번 정책포럼이 노동 시장의 성불평등에 대한 증거 기반 정책 수립, 그리고 이와 관련된 담론 확산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4일 이정심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소장이 ‘제3차 정책포럼: 성별 임금격차 해소와 여성의 경제적 역량강화 논의’ 정책포럼을 개회하고 있다. (사진=유엔여성기구/김하늬)
24일 이정심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소장이 ‘제3차 정책포럼: 성별 임금격차 해소와 여성의 경제적 역량강화 논의’ 정책포럼을 개회하고 있다. (사진=유엔여성기구/김하늬)

전문가들은 국제기구와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방법론으로 성별 격차 해소를 위해 세계적으로 8000개에 가까운 기업이 참여하는 여성역량강화원칙(WEPs)이 소개됐다. 여성역량강화원칙은 유엔여성기구와 유엔글로벌콤팩트가 2010년 공동 발족한 이니셔티브로, 기업이 직장, 시장 및 공동체에서 성평등을 실현하는 7가지 방법을 담고 있다.

안나 팔스 유엔여성기구 여성역량강화원칙 사무국장은 “성별 임금 격차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성불평등의 명백한 예시”라고 말하면서 “(임금 격차가) 여성과 가족의 복지에 단기적‧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ILO, OECD, UN Women 등 3개 국제기구가 2017년 공동 출범한 동일임금 국제연합(EPIC)도 소개됐다. EPIC은 정부, 기업, 학계 등이 가입할 수 있는 연합으로, 성별 임금 격차 해소 방안에 대해 기업·정부 등에 법률적‧제도적 지원을 제공한다. 또한, 국가‧지역‧국제적 차원의 연합을 통해 성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장려하고 근거 기반의 정책에 기여하는 이니셔티브이다.

발레리 프레이 OECD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임금 투명성은 성별 임금 격차 해소에 있어 간단하지만 강력한 도구로 OECD 38개국 중 21개국이 기업을 대상으로 성별 임금 격차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고 있다”면서 “성별 임금 격차의 존재와 원인, 결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기업들이 내부적 불평등을 해결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말했다.

최근 정부 입법과 글로벌 투자 흐름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환경·사회·거버넌스(ESG) 지표와 연계해 성별 임금 격차를 공시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김혜진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ESG 경영은 조직 내 성별 임금 격차와 여성 참여에 대한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매커니즘을 통해 임금 격차를 줄이고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면서 “대기업 중심으로 이뤄지는 ESG 경영을 저임금 여성 근로자들이 많이 일하는 중소협력업체로 확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심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소장은 “2023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발표 이후 남녀간 임금 격차 문제가 세계적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면서 “임금 격차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와 높은 교육 수준만으로는 해소될 수 없는 구조적 성차별에 기반한 문제로 정부와 국제기구, 기업이 함께 제도적‧문화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