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작년 한해 기록 넘어

국내 은행권이 올해 3분기까지 44조원에 이르는 이자이익을 거뒀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다.
2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19조5천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14조1천억원)보다 38.2%(5조4천억원) 증가헀다.
지난해 국내은행은 금감원이 영업실적을 취합한 이래 역대 최고치인 18조5천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는 3분기 만에 지난해 순이익 규모를 뛰어 넘었다.
국내 은행의 1∼3분기 이자이익은 44조2천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40조6천억원)보다 8.9%(3조6천억원)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3분기 당기 순이익은 5조4천억원으로 작년보다 28.6% 늘었다. 전 분기보다는 23.9% 감소했다.
대출 증가로 3분기 이자이익은 14조8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천억원 증가했다.
금감원은 "올해 3분기 연속 순이자이익(NIM)이 하락하고 있으나, 대출 등 이자수익자산 증가로 이자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3분기까지 비이자이익은 4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3조원 증가했다.
3분기에는 비이자이익이 8천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9천억원 감소했다. 이는 금리상승에 따른 채권 평가·매매 손실 등에 따른 것이다.
3분기 누적 판매비와 관리비는 18조9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천억원 증가했다.
3분기 누적 대손비용은 5조1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원 증가했다. 이는 2분기 중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 관련 거액 충당금 환입(1조2천억원)에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다.
3분기 국내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8%로 전 분기보다 0.20%포인트,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87%로 2.78%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은행 순이익은 2022년 이후 금리상승 및 이자수익자산 증가 등으로 확대됐으나, 올해 들어 순이자마진 및 ROA·ROE 지표가 하락하는 등 수익성이 점차 둔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