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디에프·이건·일진문화재단, 차세대 미술작가 지원한다
신세계디에프·이건·일진문화재단, 차세대 미술작가 지원한다
  • 이세아 기자
  • 승인 2023.09.09 22:32
  • 수정 2023-09-09 22: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세계디에프-최혜숙
이건(EAGON)-양정화
일진문화재단-조종성
3년간 지속 후원키로
지난 5일 서울 성동구 플랜트란스 성수 플래그쉽에서 ‘1기업 1미술작가 지원사업’ 후원식이 열렸다. 신세계디에프, 이건, 일진문화재단 관계자들이 참석해 최혜숙, 양정화, 조정성 작가에게 3년간의 지속 후원을 약속했다.  ⓒ한국메세나협회 제공
지난 5일 서울 성동구 플랜트란스 성수 플래그쉽에서 ‘1기업 1미술작가 지원사업’ 후원식이 열렸다. 신세계디에프, 이건, 일진문화재단 관계자들이 참석해 최혜숙, 양정화, 조정성 작가에게 3년간의 지속 후원을 약속했다. ⓒ한국메세나협회 제공

신세계디에프, 이건, 일진문화재단이 최혜숙, 양정화, 조정성 작가에게 3년간의 지속 후원을 약속했다.

한국메세나협회(회장 김희근)는 지난 5일 서울 성동구 플랜트란스 성수 플래그쉽에서 이들 3개 기업이 참여한 ‘1기업 1미술작가 지원사업’의 후원식을 열었다.

국내 우수 작가들이 작품 활동에 주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2021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협회는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협력해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사업’ 선정 작가 중 차세대 유망 작가에게 기업 후원을 연계하고 있다. 메트라이프생명 사회공헌재단(전희경), 바텍(김미영), 벽산엔지니어링(안상훈), 한미약품(신건우), 현대백화점(차영석), CJ문화재단(정정주), TYM(김남두) 등 7개 기업이 이 사업을 통해 일대일로 작가를 지원하고 있다.

최혜숙, A Series of 21st Version of Portrait of a Beauty(Scroll) VI, 2023, Glass, kiln formed, screen printed, H139 x W63.5 x D4.5cm. ⓒ한국메세나협회 제공
최혜숙, A Series of 21st Version of Portrait of a Beauty(Scroll) VI, 2023, Glass, kiln formed, screen printed, H139 x W63.5 x D4.5cm. ⓒ한국메세나협회 제공

최근 국립중앙박물관과 협업해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를 미디어파사드로 선보였던 신세계디에프(신세계면세점)는 최혜숙 작가가 표현하는 ‘미래의 유산’과 ‘궁극의 아름다움 및 가치’에 주목했다. 신세계디에프 관계자는 “작업 공정이 많고 상당한 비용이 드는 유리 소재 작업에 더욱 힘을 싣고 싶었다”라며 “최 작가는 유리 소재의 여러 물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넓은 스펙트럼을 갖고 있어 앞으로의 작업이 더욱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양정화, Study of Heart, 2023, gouache, graphite, charcoal, conte on canvas, 145.5 X 112.1 cm. ⓒ한국메세나협회 제공
양정화, Study of Heart, 2023, gouache, graphite, charcoal, conte on canvas, 145.5 X 112.1 cm. ⓒ한국메세나협회 제공

종합 건축자재 전문기업 이건(EAGON)은 양정화 작가를 지원한다. 1990년부터 매년 ‘이건음악회’를 개최하며 클래식 공연 문화 발전에 기여했고, 이번 사업을 통해 미술 지원에도 관심을 넓혔다. 양 작가는 초기 작업부터 꾸준히 목탄, 콩테 등을 사용해 삶과 자연, 죽음이 공존하는 삶의 단상들을 풀어내고 있다.

조종성, From Stroke, 2023, Pigment on paper, 243 x 185 cm. ⓒ한국메세나협회 제공
조종성, From Stroke, 2023, Pigment on paper, 243 x 185 cm. ⓒ한국메세나협회 제공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 일진그룹이 설립한 일진문화재단은 한국 전통 산수화의 새로운 재해석으로 유명한 조종성 작가를 지원한다. “모두가 함께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꿈꾸며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 있는 자산을 기르고자 한다”라고 밝힌 일진문화재단은 “선조들의 방식을 치열하게 탐구하여 시대를 초월한 가치를 작품 속에 담아낸 작가가 인상 깊었다”라고 전했다.

양 작가는 “기업이 일회성 후원에 그치지 않고 긴 호흡으로 지원해 준다는 사실에 든든한 동반자를 만난 기분이다. 창작 활동에 더욱 몰두할 수 있는 원동력이 생겼다”라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