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노조연맹, 1만1377명 조사
4명 중 1명 ‘교권 침해로 치료·상담’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서이초등학교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교사를 추모하기 위한 동료 교사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서이초등학교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교사를 추모하기 위한 동료 교사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뉴시스·여성신문

교사 10명 중 8명은 최근 1년 동안 교직생활을 그만둘지 고민한 것으로 나타났다. 4명 중 1명은 교권 침해로 인해 정신과 치료나 상담을 받았다. 이는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연맹)이 지난 4월 20~28일까지 교사 1만1377명을 대상으로  ‘교육현장 인식 조사’한 결과다.  

응답자의 87%(거의 매일 25.9%, 종종 33.5%, 가끔 27.6%)는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의원면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교직생활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답변도 68.36%였다. 

교사 26.59%는 최근 5년간 교권 침해로 인해 정신과 치료나 상담을 받았다고 답했다. 교권 침해를 한 주체는 학생(70.39%)과 보호자(68.48%)가 대다수였다. 매년 실시되는 교원능력개발평가를 교권 침해 사례로 든 응답자도 33.75%였다. 

교사들은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해결돼야 할 과제로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처벌 등 법률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방지 대책 수립’(38.2%)을 1순위로 꼽았다. 2순위는 ‘교원의 경제적 보상 현실화’(33.5%)였다. 실제로 응답자의 5.7%는 학생을 지도하던 중 아동학대로 신고당한 경험이 있었다. 

응답자의 97%는 교직 사회에 ‘담임 기피 현상’이 있다고 답했다. 그 원인으로는 ‘학부모 민원 부담’(32.98%)과 ‘학교폭력과 아동학대를 이유로 한 고소 위험성’(32.41%)이 많이 꼽혔다.  

정부 정책에서 현장 교사 의견이 잘 반영되냐는 질문에는 96.3%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현 정부의 교육정책을 학점으로 평가하라는 문항에 F학점을 준 교사도 72.12%에 달했다. A학점은 0.14%, B학점은 1.88%에 그쳤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