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구주의 빈곤 악순환을 주목하자
여성가구주의 빈곤 악순환을 주목하자
  • 여성신문
  • 승인 2005.05.12 16:29
  • 수정 2005-05-12 1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성가구주 빈곤, 남성가구주보다 3배 높다
모자가정, 여성노인 가구에 소득보장대책 시급

여성가구주는 가족의 생계유지와 자녀양육을 혼자 감당해야할 상황에 처하므로 가족자원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맞벌이가 가능한 남성가구주 가구보다 경제적으로 더 어려움을 겪는다.

통계청의 지난 2000년 가구 소비실태 조사 결과, 여성가구주 가구 중 빈곤가구 비율은 21.0%이며, 남성가구주 가구 중 빈곤가구 비율은 7.0%로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위험이 남성가구주 가구의 3배에 이른다(최저생계비 기준). 또한 가구원을 감안한 가구주 성별 빈곤율의 경우, 남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6.3%, 여성가구주 가구는 16.9%로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남성가구주 가구의 2.7배로 나타났다.

~b2-5.jpg

특히 가구주 연령이 20세 미만인 경우에는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이 10% 수준으로 유사하나, 20∼64세의 경우에는 남성가구주 가구는 5.3%, 여성가구주 가구는 11.8%로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위험이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경우에는 남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이 29.3%,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56.1%로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위험이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성년 자녀를 양육할 가능성이 많은 20~64세 여성가구주 가구가 빈곤위험에 놓일 위험이 남성가구주 가구에 비해 특별히 높다는 점을 입증, 모자가족에 대한 실질적인 고용 및 소득보장 대책이 긴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96년 대비 2000년의 경우 여성가구주 가구 중 비정규직은 13.1%에서 22.2%로 9.1%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경제위기를 기점으로 보편화된 노동시장의 유연화 정책과 비정규직화 경향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96년과 2000년의 빈곤 여성가구주의 연령별 구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변화율로는 20∼64세 근로 연령계층의 빈곤율이 가장 큰 폭인 158% 증가했다.

여성노인 가구의 경우, 100가구 중 56가구가 빈곤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여성노인 가구에 대한 공적 소득보장 대책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윤원 객원기자

bintlove@hanmail.net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