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노로바이러스 증가세 지속... 독감은 감소세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증가세 지속... 독감은 감소세
  • 유영혁 기자
  • 승인 2023.01.21 14:03
  • 수정 2023-01-21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연구원들이 식중독균 배양분리작업을 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연구원들이 식중독균 배양분리작업을 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식중독을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증가세는 지속되면서 지난해보다 2.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루엔자(독감) 환자는 올들어 2주째 감소하고 있다. 

21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지난 8~14일(2주차) 외래환자 1000명 당 설사를 유발하는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246명으로 전주(234명)보다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95명보다 2.6배 많다. 최근 주간 신고 환자 수는 178명→225명→234명→246명 등으로 증가하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한 경우, 감염된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에 오염된 손이나 환경에 접촉한 경우 등에 감염된다.

감염 후 12∼48시간 안에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복통, 오한, 발열이 동반되기도 한다. 감염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서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은 충분히 익히거나 흐르는 물에 세척해 먹으며 물은 끓여 마시는 등의 위생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분율(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ILI)은 40.2명으로 1주차의 52.5명에서 23.4%(12.3명) 줄었다.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작년 44주차(10월 16~22일) 9.3명에서 작년 마지막 주인 53주차(60.3명)까지 증가세가 이어졌으나 올 들어서는 2주 연속 감소했다.

유행세가 전보다는 덜하지만 여전히 의사환자 분율은 이번 절기 유행 기준인 4.9명의 8.2배 수준으로 높다. 

인플루엔자 유행은 특히 소아·청소년 사이에서 여전히 심하다. 7~12세 의사환자 분율은 89.2명이며 1~6세와 13~18세는 59.4명, 53.7명이다. 19~49세도 50.3명으로 높다. 0세 26.1명, 50~64세 17.3명, 65세 이상 8.0명이다. 

질병청은 전국 200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감시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38도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면 의사환자(의심환자)로 분류된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