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와 빈곤의 함수 관계

진짜 유기농은 신토불이 농산물… 빈곤층 배려 정책 필요

최근 웰빙붐과 함께 불량만두(나는 이것을 가공식품 일반의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파문으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고조된다. 이로 인해 유기농의 소비가 날로 늘어나는데, 그것이 수입 유기농인가 국산 유기농인가는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유기농은 내 몸만을 살리는 '안전한 먹거리'가 아니다. 우리 땅과 물과 공기를 살리고 내 몸을 살리는 생명이다. 때문에 수입과 유기농이란 말은 어색한 단어조합이다.

불량만두를 포함한 가공식품의 문제가 흙에서 식탁까지의 과정이 블랙박스에 가려져 내가 먹는 것과 남이 먹는 것을 구분해 생긴 문제이듯이 수입 유기농이든 국산 유기농이든 내 몸에만 안전한 것을 찾는 것은 내 몸이 내가 속한 환경과 긴밀히 상관하고 있다는 전제를 무시하는, 가공식품이 야기하는 문제와 똑같은 메커니즘을 갖는다.

현재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접근도는 그 사람이 가진 경제력에 비례한다. 미국에서는 정크푸드의 섭취 등을 이유로 저소득층 어린이의 비만이 증가한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저소득층 어린이들이 선진국보다 비교적 가격이 비싼 패스트푸드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이것을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그런 일이 드물지만, 라면이나 빵 등 값싸고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는 저소득층일수록 많을 수밖에 없다.

옛날에는 가난한 사람이나 부자나 먹거리의 풍족함과 부족함의 문제만이 존재했을 뿐, 먹거리가 안전한가, 안전하지 않은가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안전한 먹거리는 부유층의 전유물이 되었다.

누구나 안전한 먹거리를, 필요한 만큼 먹을 권리가 있다. 안전한 먹거리에 빈곤층이 소외되지 않고 누구나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만드는 것은 사회전체의 책임이다.

~B3-3.JPG

신권화정

'환경정의 다음을 지키는 사람들' 부장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