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통화량 38조원 증가...은행 예적금 22조원↑
10월 통화량 38조원 증가...은행 예적금 22조원↑
  • 유영혁 기자
  • 승인 2021.12.15 14:29
  • 수정 2021-12-15 14: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행 '통화 및 유동성' 발표
10개월째 10%대 증가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관계자가 원화를 들어 보이고 있다. ⓒ뉴시스
ⓒ뉴시스

10월 시중 통화량이 1년 전보다 38조원 증가하면서 올들어 10개월 연속 10%대 증가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10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 10월 광의통화(M2·계절조정계열·평잔)는 3550조6천억원으로 9월의 3512조6천억원 보다 38조원(1.1%) 늘었다.

지난해 같은달 보다는 12.4% 증가(원계열·평잔)했다. 증가율이 전달이 12.8% 보다는 조금 내렸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처럼 즉각 현금화가 가능한 화폐와 함께 MMF(머니마켓펀드), 2년 미만 정기예적금, 금전신탁 등 현금화가 빠른 금융상품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시중통화량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금융상품별로 살펴보면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11조4천억원), 정기예적금(+11조2천억원), 금융채(+3조6천억원) 등을 중심으로 통화량이 증가했다.

이중 정기 예적금은 수신금리 상승, 예대율 관리를 위한 자금 유치 등에 따라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18조3천억원), 기타금융기관(+10조4천억원)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기업(-8천억원)은 조금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 대출 증가액은 전월보다 둔화됐으나 재난지원금 지급 효과, 주식시장으로부터의 자금 인출 등으로 인해 정기예적금 등을 중심으로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통화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10월 협의 통화량(M1)은 9월 보다 1.2%, 지난해 10월보다는 18.0% 늘었다.

금융기관 유동성(Lf·평잔)은 4862조9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0.7% 확대됐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10.2% 증가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