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연, 5000명 울분 척도 조사
여성 2.73점, 남성 2.56점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픽사베이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픽사베이

우리나라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우울, 분노 등 ‘울분(PTED 도구를 변형해 측정)’ 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여성들은 성별 공정성과 안전 위협에 대해 심각성을 느끼고 있었다. 그 결과 10명 중 8명의 여성들이 한국을 떠나고 싶다고 생각했다.

지난 15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청년 관점의 젠더갈등 진단과 포용국가를 위한 정책 대응방안 연구 : 공정 인식에 대한 젠더 분석’을 발표해 우리나라 성인남녀 5000명의 ‘울분’ 척도는 4점 만점에 2.64점이라고 밝혔다.

특히 여성의 울분 척도는 2.73점, 남성은 2.56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울분 척도는 우울·불행·분노·억울·부당함 등에 대한 감정 경험을 뜻한다.

20~30대 청년세대와 40대 이상 기성세대로 구분했을 때 울분 척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청년 여성으로 2.79점이었다. 청년 남성은 2.53의 울분 척도가 나와 수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삶의 불안에 대해 성별, 세대별 차이를 조사한 결과 사회경제적 불안이 가장 주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4점 척도에서 청년세대는 2.63점, 기성세대는 2.40점이 나왔다.

‘청년 관점의 젠더 갈등 진단과 포용국가를 위한 정책 대응방안 연구: 공정 인식에 대한 젠더 분석’ 자료
‘청년 관점의 젠더 갈등 진단과 포용국가를 위한 정책 대응방안 연구: 공정 인식에 대한 젠더 분석’ 자료

남녀 간 격차가 가장 큰 항목은 범죄피해에 대한 불안으로 청년 여성은 범죄피해 불안 지표가 2.66점이었다. 반면 청년 남성은 1.74점에 그쳤다. 기성세대도 여성 2.23점, 남성 1.78점이었다.

우리나라의 불공정성에 대해 느끼는 정도도 여성이 남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가 불공정 하느냐는 질문에 여성은 86.1%, 남성은 78.4%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소득 및 임금 격차에서 성별에 따른 격차가 부당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청년 여성 82.8%, 기성 여성 85.6%인데 반해 청년 남성은 42.7%, 기성 남성은 66.5%에 그쳤다. 학력, 기업 규모 등을 통한 소득 및 임금 격차 인식 정도가 10%포인트 이내인 점을 고려하면 성별 임금 불평등 문제를 바라보는 남녀 간 인식차가 상대적으로 컸다.

그 결과 ‘한국을 떠나고 싶다’는 질문에 청년 여성의 79.1%, 기성 여성의 64.6%가 그렇다고 답했다. 청년 남성은 72.1%, 기성 남성은 66.0%였다.

여성들은 제도·제도에 대한 불신도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청년 여성 87.8%, 기성 여성 93.2%은 우리나라의 제도와 정치가 다양한 집단의 생각이나 의견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각 세대별 남성의 응답률은 82.9%, 90.4%가 동의했다.

특히 ‘의사결정직에 남성이 너무 많다’는 질문에는 청년 여성 87.6%, 기성 여성 84.8%가 동의했다. 청년 남성은 43.1%, 기성 남성은 63.0%만 그렇다고 생각했다.

단 정치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우리 사회를 좋은 방향으로 바꾸는 데 도움이 된다는 질문에 청년 여성은 58.4%가 그렇다고 생각했지만 기성 여성은 44.7%로 과반수를 넘기지 못했다. 평범한 개인이 힘을 모으면 정부나 국회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항목에도 청년 여성 65.1%, 기성 여성 57.4%로 동의율에 차이가 있었다.

연구진은 “세대를 불문하고 여성들은 격차가 부당하다는 인식과 차별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남성보다 강하고 청년 여성들의 범죄피해 불안을 매개로 문제의식이 강해져 세대별 성차는 청년세대에서 더욱 커졌다”며 “갈등의 분할선으로 성별이 아니라 불평등의 구성 원리로서 젠더를 이해할 수 있는 담론 확산과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