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회원국 성별 저임금 근로자 비중 ⓒ한국노동연구원
OECD 회원국 성별 저임금 근로자 비중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의 임금 근로자 중 여성은 34%가 저임금 근로자로, 남성 저임금 근로자 15.7%에 비해 월등히 많으며, 다른 나라에 비해서도 유독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노동리뷰 7월호 ‘저임금 근로자 특성과 변화’ 보고서에서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2년 연속 상승해 지난해 전체 근로자 중 23.8%를 차지했다. 저임금 근로자는 중위 임금의 3분의 2에 못미치는 임금을 받는 근로자를 뜻한다. 저임금 근로자의 비중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상승해 2012년 24.6%에서 2015년 21.3%로 하락했으나 2016년 다시 23.2%로 증가했다.

특히 여성 근로자 중 저임금 근로자 비중이 높은 이유는 주로 종사하는 업종에 따른 차이인 것으로 풀이했다. 일자리의 질이 상대적으로 낮은 음식·숙박업에서 여성 근로자의 65.2%가 저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소매업 42.5%, 사업시설 및 서비스업에서는 40.9%로 조사됐다.

여성 고용 증가세를 이끄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도 여성 근로자 31.2%가 저임금이다. 가사·육아와 병행을 위해 여성들이 시간제 근로를 하는 것도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6∼2017년 증가한 시간제 일자리 10개 중 7개가 여성 일자리였다. 시간제 근로의 60%가량이 저임금 일자리다.

OECD 회원국의 성별 저임금 근로자 비중 통계에서도 한국의 여성 저임금근로자 비중은 37.2%로 남성 15.3%에 비해 월등히 높다. OECD 주요국가 평균 여성 저임금 근로자 비중 20.4%, 남성 저임금 근로자 비중 12.8%과 비표해도 차이가 크게 난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