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여성의 69%가 ‘건강에 문제가 있거나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하고

80%가 통증을 느끼며, 불안·우울증에 시달리는 경우도 73.9%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전체의 31.5%는 12개월 전과 비교해 건강이 더 나빠진 것으로 조사됐다.

시행 1주년을 넘긴 기초생활보장법에 대한 평가가 활발한 가운데 최근 한국여성단체연합이

마련한 토론회에서는 여성 조건부 수급자들이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로 빈곤의 악순환을 겪

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여성연합이 서울과 전국 6개 광역시의 자활후견기관에 있는 여성 조건부 수급자 303명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났다.

더욱이 이 가운데 가족구성원 중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는 비율은 46.9%에 이르

렀으며 본인이 앓고 있는 경우가 42%, 배우자 32.5%, 취학자녀 12.1%, 노인 12.1% 순이었

다. 이에 대해 강남식 한국여성연구소 소장은 “가장 경제활동이 활발한 부모 중 한 사람이

만성질환에 시달린다는 사실은 건강문제가 경제적 빈곤의 원인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69%가 생활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건강 심각

자활 후견기관 교육, 취업과 연계 방안 시급

@6-1.jpg

▶여성조건부 수급자들이 건강상의 이유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자활후견기관의 도시락 사업단에서 일하는 모습. <사진·민원기 기자>

실제로 여성 조건부 수급자들의 실직 사유는 건강문제가 37.1%로 가장 높았으며 구직과정

에서 가장 큰 어려움도 본인의 건강이 25%를 차지했다.

또 자활사업단에 참여하는 사람 중 45.4%가 ‘중간에 사업단을 그만두고 싶었다’고 응답

했는데 이유는 30.4%가 ‘건강이 너무 좋지 않아서’를 들어 건강 문제가 큰 걸림돌이 되

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 84.2%가 의료보호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45.4%가 병원에서

차별을 경험한다고 답했다. 이 중 약이나 검사를 덜 받는 경우가 31.4% 였으며 타 의료보험

환자보다 늦게 입원하는 불이익은 20.9%가 경험했고 27.5%는 불친절하거나 무시하는 태도

로 인해 불쾌했다고 밝혔다.

한편 자활후견기관에서 처음 한달 간 실시하는 상담·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여성 수급자들

은 대인관계 형성과 취미활동을 지속적으로 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상담·교육은 주로 법과 제도에 대한 내용이었으나 응답자들의 74%가 상담·교육 후 자활

의욕이 생겼다고 밝혔다. 이 중 44.2%는 ‘같은 사람들을 만나 서로 격려하고 위로가 되어

서’, 37.3%는 ‘기관의 담당자들이 친절하고 격려해 줘서’라고 답해 법·제도 등 정보 습

득보다 대인관계의 효과가 훨씬 컸다. 또 전체의 76.7%가 교양 및 취미활동과 의사소통·인

간관계 훈련을 위해 상담·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실시되기를 원했다.

이에 대해 강 소장은 “조건부 수급자들이 동료들과의 상호교류를 통해 여가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만성적인 빈곤에서 오는 정서적 불안을 교양·취미 활동으로 해소하려는 경향

이 있다”며 “이들의 정서적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체의 50%는 미취학 자녀를 국공립 어린이집에 맡기고 있었으나 20%는 본인이 돌보고,

혼자 두는 비율도 10%나 됐다. 취학자녀는 50.5%가 혼자 두고 13.6%가 본인이 돌보고 있어

방과후 보육에 대한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자활후견기관 교육 이후 21.1%가 취업에 대해 기대하지 않는다, 45.6%가 잘 모르겠다

고 답하고 전체의 60.3%가 앞으로 생활이 더 나빠지거나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

로 보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이들이 자활의욕을 가질 수 있으려면 일자리 알선과 사업정보제공을 강화하면서

생계비를 보조하는 등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송안 은아 기자sea@womennews.co.kr

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