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결과

공공기관 여성 관리직 16%

대기업보다 비율 낮아

여성 고용 비율은 37.8%

선진국 3분의 1도 못 미쳐

대기업보다 정부가 운영하는 공공기관의 여성들이 관리자로 승진하기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에서 관리자는 일반 회사의 ‘차장’이나 ‘부장’급 이상의 직급에 해당한다.

고용노동부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AA) 전문위원회는 지난해 공공기관 329곳, 민관기업 1767곳 등 총 2005개 기관을 대상으로 여성 근로자·관리자 비율을 조사한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적극적 고용개선 조치는 500인 이상 사업장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여성고용기준(근로자비율 및 관리자비율)을 충족하도록 유도해 고용상 성차별을 해소하고 고용평등을 촉진하는 제도다. 여성고용기준은 업종별 여성고용률 평균의 70% 이상을 충족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조사 결과 지난해 전체 여성 관리자비율은 20.39%로 2006년 제도 시행 첫해보다 10.17% 증가했다. 여성 고용비율은 37.8%로 같은 기간 대비 7.03% 늘었다.

사업장 형태별로는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여성 관리자비율이 낮게 조사됐다. 공공기관 여성 관리자비율은 16.47%인 반면 민간기업은 21.16%로 나타나 공공기관의 ‘유리천장’이 대기업보다 견고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여성 고용비율은 공공기관이 38.27%로 민간기업 37.71%보다 높았다.

뿐만 아니라 국제노동기구(ILO) 기준 전체 사업장의 여성 관리자비율은 한국이 10.5%로, 스웨덴 39.8%, 미국 43.4% 등 주요 선진국보다 크게 낮았다. 또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37.1%의 3분의 1 수준도 미치지 못해 유리천장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고용부는 밝혔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여성 고용비율 71.25%를, 관리자비율 52.26%를 기록해 가장 높았다. 반면 ‘중공업(1차금속, 운송장비)’은 여성 고용비율 5.88%, 관리자비율 1.50%로 가장 낮은 업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여성고용·관리자 비율이 업종별·규모별 평균의 70%에 미치지 않는 곳은 2005곳 중 993개(공공기관 70개·민간 823곳)에 달해 사업장별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사업장에 대해 남녀차별적 고용관행 개선, 일·가정 양립 직장문화 조성 등의 내용을 담은 시행계획서를 작성·제출토록 통보하고, 내년에는 계획서의 이행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