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성폭력대항단체인 ‘DSO(Digital Sexual Crime Out·디지털 성폭력 아웃)'를 이끄는 하예나 대표(활동가)가 2월부터 여성신문 연재를 시작합니다.

하 대표는 2015년 소라넷 고발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활동가 연대를 구축하고 모니터링하면서 공론화를 주도했습니다. 2016년 경찰의 소라넷 폐쇄는 그가 계속해서 싸우고 더 강력하게 외쳐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다가왔습니다. DSO 단체 설립에 나선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입니다. 하 대표는 연재를 통해 디지털 세상에서 무감각하게 벌어지는 성폭력 실태를 낱낱이 고발할 예정입니다. 코너명 ‘하예나의 로.그.아.웃’에는 디지털공간의 성폭력을 종료·근절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디지털성범죄 싸우는 활동가들을 평가하는 남성들

"멍청한 여자들, 엄살 떤다, 불쾌한 글 올리지 마라..."

어둠 속에 빛을 비추자 드러난건 초라한 '남근다발' 뭉치

 

 2015년 말 소라넷 고발 프로젝트로 활동을 시작했으니 벌써 1년이 훌쩍 지났다. 그 짧고도 긴 시간 동안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과 함께하면서 응원과 격려를 받았다. 그 말들에 가슴 벅찬 감동으로 행복의 눈물을 흘린 적도 있었다. 그들이 아니었으면 우리는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항상 좋은 말만 들었던 건 아니다. ‘소라넷을 위해’ 피의 방패를 치는 남성들에게 수많은 억측과 ‘평가’도 들어야 했다.

디지털 성범죄 실태를 알리는 우리들에게 ‘남혐을 조장하기 위한 세력’이라는 말이 기억난다. 또 “어째서 ‘똥물’을 끌어올려 사람들을 불쾌하게 만드냐”고 비난도 들었다. 똥은 밖에 뿌리지 말고 똥통에 모아두라면서. 풀어 말하면 공론화를 멈추라는 말이었다. 무슨 똥같은 소리인지 모르겠지만, 그 질문에 꼭 답을 해줘야 한다면 그놈의 똥통에 빠져죽는 여성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몰래 여성의 사진을 찍어 낄낄거리며 공유하고, 본인을 믿고 함께했을 ‘여자친구’에게 술을 먹여 강간할 사람을 모집한다. 어디 있는지 경고 표시라도 있으면 좋을 텐데. 사람들은 똥통의 존재조차 모르고 있다.

물론 끈질기게 따라붙는 지독한 악취와 같은 충격으로 나는 불면의 나날을 보내야 했다. 결국 활동 1주일도 되지 않아 모니터링팀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호소했다. 우리는 호소 글을 올렸지만 오히려 남성들은 이때다 싶어 더 신랄하게 물어뜯었다. “별 것 아닌 일 가지고 우는 소리한다”라는 말부터 “그 영상을 보며 자위하고 있을 것”이라며 낄낄거리기도 했다. 또 제대로 된 ‘폐쇄운동’ 방법을 모른다며 본인들의 ‘정성어린’ 충고를 무시하는 멍청한 여자들이라고 욕하는 하는 사람도 있었다.

 

DSO 로고
DSO 로고

SBS방송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소라넷 방송을 예고했을 때는 시청자 게시판이 역대급으로 뜨거워졌다고 한다. ‘남혐 세력의 음모’라거나 ‘소라넷을 알다니 정숙하지 않은 여자들(여자다운 여자)’ 또 ‘20년간 소라넷 운영자를 비밀 수사하던 경찰의 작전을’ 한순간에 깨버렸다는 타이틀도 거머쥐었다. 얼마나 ‘대단한 비밀 작전’이길래 강간당하는 여성들을 방치하고 있었는지 대답을 듣고 싶지만 말이다.

이제 이 자리를 빌어 이러한 남성들의 모든 의문들에 친절하게 대답해주자면, 일단 평가는 거절한다. 평가 대상은 우리가 아니라 가해자인 당신들이어야 한다. 답변은 우리가 아닌 당신들이 해야한다고 말해주고 싶다. 당신들의 하나같이 편협한 댓글은 분석할 필요도, 해석할 필요도 없이 당신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딱히 상처받거나 신경 쓰이지도 않는 말들이다.

사실 정말 상처받는 말들은 보통 오프라인에서 보통 친한 사이에 듣게 된다. “그런 거에 신경 쓸 바에는 대학교나 가라”, “네가 그래봤자 사람들은 바뀌지 않아”... 모든 것을 무가치하게 만들어 버리는 말들. 나는 그런 말들이 듣기 싫어 친구들을 만나는 것을 피하곤 한다.

진심어린 걱정의 말도 듣는다. 네가 하는 일이 위험하지 않냐고 묻는다. 물론 처음에는 협박도 있었다. 은유적인 표현이었지만 뉘앙스를 따지면 너희들이 이것을 계속한다면 ‘그들이 너를 강간하고 영상을 찍어서 여차여차 될 거라는’ 협박이었다. 솔직히 그 당시에는 정말 무서웠다. 주변인에게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도 알리고, 팀이 해체될 위기도 맞이했다. 실시간으로 강간이 중계되는 소라넷에서 뭘 못하겠나 싶었다. 잠시였지만 정말 죽음을 각오하기도 했었다. 그때 당시는 말이다.

지금은 많은 것이 바뀌고 있다. 그들과 대항해 싸우는 사람이 많이 늘어나 빛이 되어 어둠 속을 비추고 있다. 어둠 속에선 규모나 형태 아무 것도 짐작할 수 없기 때문에 더 위협적이고 공포스럽게 느껴진다. 그들은 그것을 이용해 우리들을 억누르려 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빛을 비추어 드러난 그들의 실체는 초라한 “남근다발” 뭉치들이 아닌가. 그들은 파헤쳐질수록 초라해진다. 그 초라한 실체를 알리는 것이 바로 우리들의 역할이 아닐까.

워싱턴 행진의 대자보의 일부에는 이런 말이 있다. “여성인권이 낮은 곳에서 최초의 무언가가 된다는 것은 때로 목숨을 담보로 하기도 한다, 혹은 그 정도의 공포를 주기도 한다. 그럼에도 우리가 멈출 수 없는 것은. 그것을 일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다.”

나는 모든 여성이 함께 ‘안심’할 수 있는 평범한 삶을 일상으로 만들고 싶기 때문에 이 운동을 한다. 얼마나 소소한 바람인가?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