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지난해 영업적자 규모가 1조원을 넘어섰다. ⓒ뉴시스 여성신문
국내 주요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지난해 영업적자 규모가 1조원을 넘어섰다. ⓒ뉴시스 여성신문

온라인 쇼핑업계 시장의 외형 성장만큼 영업적자 폭 또한 지속적으로 불어나고 있다. 할인쿠폰을 뿌리는 등 갈수록 출혈 경쟁이 치열해 자칫 업계 전체가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14일 전자상거래업계에 따르면 오픈마켓(다수 판매-구매자 중개), 소셜커머스 등 국내 주요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지난해 영업적자 규모는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난다. 

쿠팡·티몬·위메프 등은 2015년 각각 5470억 원, 1452억 원, 1424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전체 적자 규모는 8346억 원이다. 

지난해 역시 상황이 나아지지 않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지난해 소셜커머스 3개사의 적자 규모는 가장 좋은 경우를 가정해도 80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픈마켓 적자 규모도 커졌다. 11번가(SK플래닛 운영)의 경우 지난해 약 2000억 원 이상의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SK플래닛 관계자는 “지난해 할인쿠폰 발행 등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펼친 데다 시장 선점 차원에서 검색 시스템 등에 대한 IT(정보통신) 투자도 많이 이뤄졌기 때문에 적자 규모는 다소 커진 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소셜커머스 3사와 11번가의 영업손실만 따져도 지난해 적자 규모가 무려 1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G마켓·옥션을 운영하는 이베이 코리아는 2015년 800억 원의 영업이익에 이어 지난해에도 비슷한 규모의 이익을 냈다. 주요 업체 중에서는 유일한 흑자다. 

이들 업체의 대규모 적자 배경은 온라인쇼핑 시장 선점을 위한 가격경쟁과 투자다. 

자금난 해결을 위해 외부에서 신규 투자를 받으려면 '성장'과 '시장 선점'을 증명해야 하고, 그러려면 다시 적자를 감수하고 공격적 마케팅으로 방문자 수나 거래액 등 외형을 키워야 한다. 그 결과 수익성은 더 나빠지는 악순환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한 소셜커머스 관계자는 "현재 대부분 업체는 늘어난 거래액을 통해 확보한 유동성으로 영업손실을 메우는 구조"라며 "시장 팽창이 한계에 이르러 거래액이 정체될 경우 버티지 못하는 업체들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