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여성공학인력 활용 정책의 제도화 방안’ 포럼
여성공학인의 산업계 진출·성장 위한 제도 개선 강조

국민의힘 소속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이인선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장 이언주 최고위원과 함께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산업계 여성공학인력 활용 정책의 제도화 방안’ 국회 정책포럼을 공동 주최했다.
이번 포럼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주관했으며 산업현장에서 여성공학인력의 활용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인선 여성가족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우리 사회는 여성공학인재의 학문적 성장을 크게 확대해 왔지만, 산업계에서 여성공학인의 역량이 충분히 발휘될 제도적 기반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이는 개인적 손실을 넘어 국가 경쟁력에서 심각한 제약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성가족위원장으로서 입법과 정책을 통해 여성공학인력이 산업현장에 안착하고 경력을 이어가며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적극 마련하겠다”고 강조하며 “오늘의 논의가 여성공학 인재가 미래 혁신의 리더로 도약하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말했다.
이영옥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 회장은 “산업현장의 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와 첨단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여성공학인의 적극적인 참여와 성장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국회 정책포럼이 여성공학인력 활용 확대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종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장은 “여성공학인력은 산업 전반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필수 인재”라며 “산업계 현장에서 여성공학인력의 경력 유지와 성장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충분히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송영서 아주대학교 특임교수가 ‘공대 여학생 산업현장 진출지원 정책 제안’, 임미숙 한국여성정보인협회 회장이 ‘경력단절 예방 및 성장지원 대책’을,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원장이 ‘여성공학인력 활용확대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송영서 특임교수는 “공학계열 진입 여학생 비율이 꾸준히 증가했지만 산업계 진입과 적응 지원은 여전히 미흡하다”며 여성인력 멘토링, 기업 인센티브 지원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임미숙 회장은 “출산·육아·가족 돌봄 부담이나 경력 개발 격차가 여성공학인의 성장을 가로막는다”며 “산업현장 진입부터 성장 전 과정에서 통합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산업별 맞춤 정책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선미 부원장은 성별 전공분리 개선을 위한 소수 성별 우수 인재 유치 지원, 민관협력체 운영, 산업계 여성공학인 현황 조사·분석 제도화, 지원사업 전담기구 설치, 성평등경영공시 제도 마련 등 구체적인 법·제도 개선안을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