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여성정치연합 주최 토론회

사단법인 21세기여성정치연합(대표 김정숙)은 지난 1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베이징행동강령 채택 30주년 기념 여성의 정치·경제 참여 현황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전국 여성지도자와 학계·정계 인사, 시민 등 150여명이 참석해 성평등 이행 성과와 향후 전략을 점검했다.
이번 토론회는 1995년 UN 제4차 세계여성회의에서 채택된 베이징행동강령 30주년을 맞아, 국내외 양성평등 이행과 성과를 분석하고 여성 발전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는 김정숙 21세기여성정치연합 대표가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김은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UN 여성지위위원회와 북경행동강령의 이해’ 발제에서 “앞으로의 핵심 키워드는 모든 여성과 소녀를 위한 디지털 혁명, 빈곤으로부터의 자유, 폭력 철폐, 의사결정권 확대, 평화와 안전, 기후 정의”라고 짚었다. 이어 “성평등 규범적 프레임워크 진전, 글로벌 백래시(역풍) 속 국가의 책무성 강화, 세대를 아우르는 여성운동의 세력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민정 서울시립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1995년 이후 한국 여성의 지위 변화’ 발제를 통해 “한국은 여성의 사회 참여와 권리 보장에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권력·자원의 질적 분배와 안전권, 문화 인식 변화는 여전히 미흡하다”며 “정책·법제도 실행력 강화, 사회 전반의 젠더 감수성 제고, 온라인 혐오 대응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복실 국가경영연구원 부원장은 ‘여성경영참여 확대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여성 임원 비율이 20~40%로 확대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여성 이사 의무화 정착, 조직문화 개선, 인사관리 프로세스의 차별 요소 제거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김형준 배재대 석좌교수는 ‘Beijing+30 평가와 향후 전략’ 발제에서 “한국은 법·제도 개선과 사회참여 확대에 노력했으나 구조적 불평등, 젠더 폭력, 성평등 반발이 여전하다”고 진단하며, “빈곤·교육·건강 등 개발 의제와 성평등을 통합하고, 청년세대 참여를 높이며 디지털 성범죄 등 새로운 위협에 대응할 법·제도 장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정숙 대표는 “베이징행동강령은 매년 3월 유엔 여성지위위원회(CSW)를 통해 이행 점검을 이어오고 있으며, 21세기여성정치연합도 매해 세미나를 열어왔다”고 소개했다. 그는 “올해는 30년 성과와 실패를 돌아보며 강력한 액션을 촉구하는 자리였다”며 “특히 한국은 ‘2025 세계 젠더 격차 보고서’에서 148개국 중 101위에 머물렀는데, 경제와 정치 분야의 낮은 점수가 주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토론회가 여성 임원 비율 확대와 내년 전국동시지방선거 여성 참여 확대를 위한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적극적 동참을 호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