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행사 구조 개선 통해 정체성 회복해야” 한목소리
글로벌 콘텐츠화·공정관광 연계 등 실천 전략 제안 이어져
청소년·시민 참여 확대 등 주체적 행사로의 전환 모색

30일 제주 김만덕기념관 만덕홀에서 열린 ‘김만덕주간 운영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 ⓒ김만덕기념관
30일 제주 김만덕기념관 만덕홀에서 열린 ‘김만덕주간 운영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 ⓒ김만덕기념관

김만덕 주간의 정체성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만덕제와 김만덕상 시상식을 분리해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만덕의 정신을 기리는 토론회에서는 김만덕 주간을 단순 기념을 넘어 사회혁신의 장으로 발전시키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30일 제주 김만덕기념관 만덕홀에서 열린 ‘김만덕주간 운영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에서 김동전 제주대 사학과 교수가 주제 발표를 맡아 ‘김만덕상 선양사업 글로벌화 전략과 김만덕 주간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김만덕 주간이 모충사 김만덕제 직후에 개최돼 ‘2부 행사’로 인식되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며 “주간의 상징성과 기능을 살리기 위해 김만덕제와의 분리 운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김만덕의 스토리는 K콘텐츠로 만들 수 있는 충분한 가치가 있지만 제주도의 노력만으로는 어렵다”며 “국립중앙박물관 등 중앙정부 차원의 정책적 육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김만덕 주간을 단순 기념을 넘어 사회혁신의 장으로 발전시키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만덕기념관
이번 토론회에서는 김만덕 주간을 단순 기념을 넘어 사회혁신의 장으로 발전시키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만덕기념관

지정토론자로 참여한 고미 제주도 문화협력위원회 위원도 “김만덕 주간은 사회혁신을 실현하는 플랫폼이 돼야 한다”며 분리 운영의 필요성에 힘을 실었다. 김나솔 제주스타트업협회 부회장은 “청소년과 시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며 콘텐츠 개편을 제안했다.

이성은 제주관광공사 관광기획팀장은 “김만덕 주간을 제주형 공정관광 모델과 연계해 가치 있는 체험형 여행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김만덕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여행 프로그램 개발과 시민 참여 확대 방안을 제시했다.

김석범 전 제주문화예술재단 전문위원은 “김만덕상 수상자 선정의 객관성과 다양성 확보가 중요하다”며 “김만덕 주간을 통해 지역 사회의 기부문화 확산과 시민참여 기반을 넓힐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영진 김만덕기념관장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김만덕 주간의 사회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실천적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고순정 제주도 성평등여성정책관 성평등기획팀장은 “토론회에서 제시된 김만덕제와 주간의 분리 운영 필요성을 적극 반영하겠다”며 “김만덕 주간이 국내외적으로 의미 있는 행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