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1주년 성과공유회도 개최

경기도형 긴급돌봄체계 ‘아동언제나돌봄서비스’가 시행 1년간 3만7천여명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아동언제나돌봄서비스는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근무시간, 야간·주말 근무, 갑작스러운 병원진료, 가족 돌봄 부재 등 돌봄 공백이 생기는 순간에 연계되는 돌봄서비스다.
도는 거주지 인근에서 △초등 시설형 긴급돌봄 △언제나어린이집 중심의 영유아 돌봄 △방문형 긴급돌봄을 연계해 제공했다. 올해 5월까지 초등시설형 긴급돌봄 1352명, 언제나 어린이집 6857명, 방문형 긴급돌봄 2만8596명을 지원했다. 이용자 만족도 또한 평균 92.2점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현재 ‘초등 시설형 돌봄’은 수원·화성·남양주 등 17개 시군, ‘언제나어린이집’은 부천·남양주·김포 등 10개 시군, ‘방문형 긴급돌봄’은 수원·화성·남양주 등 10개 시군에서 운영 중이다. 하반기에는 참여 시군을 확대할 예정이다.
윤영미 여성가족국장은 “아동언제나돌봄서비스는 돌봄이 필요한 순간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며 “단순한 돌봄을 넘어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부모의 안정된 일상을 지원하는 중요한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참여 시군 확대, 아동돌봄 플랫폼 고도화,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강화 등으로 돌봄 공백 없는 경기도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도는 이날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 경기도의회 의원, 시군 담당공무원, 언제나돌봄기관 종사자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 아동언제나돌봄서비스 1주년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번 성과공유회는 지난 1년간 추진해 온 아동언제나돌봄서비스의 주요 운영성과와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향후 더 촘촘하고 안정적인 돌봄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 지난해 4.5만건 젠더폭력 피해지원
- 김동연 “공직사회부터 유리천장 깨기 실천…보이지 않는 차별 많아”
- 경기도 여성단체 간 협력 기반 마련된다
-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여성 취업지원금’ 참여자 대상 취업 특강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 성평등 정책 기초 마련 성과”
- 아이들끼리 집 지키다 참변… 돌봄 정책 다시 세워야
- 경기도, 도·시군 의회 대상으로 성인지교육 실시
-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 몽골 여성 의원단과 교류
- 박재용 의원 “장애여성 위한 ‘맞춤형 의상’ 적극 지원할 것”
- 경기도, 여성창업경진대회 열고 최종 수상자 10명 선정
- ‘경기도 여성기업 지원체계 마련’ 조례 전부개정안 상임위 통과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25년 ‘경기도 아빠스쿨’ 참여자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