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척 외주로 연간 2억2000만원 낭비…시민 세금 비효율적”

지난 25일 민병춘 논산시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논산시 다회용기 공공세척센터’ 설립을 제안했다.
민 의원은 2023년부터 관련 조례 발의와 5분 자유발언 등을 통해 다회용기 사용 확대를 꾸준히 제기해 왔으며, 이를 통해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현재의 운영 방식은 구조적 한계를 지닌다고 지적했다.
민 의원에 따르면, 논산시는 딸기축제를 포함한 4대 축제에 다회용기를 도입했으나, 세척은 경상남도 진주시의 민간업체에 외주를 맡기고 있다. 민 의원은 “세척비용으로만 올해 2억2000만원이 소요될 예정”이라며 “이는 장거리 트럭 수송으로 인한 물류비와 시간 낭비까지 수반돼 시민 세금의 비효율적 지출로 이어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장례식장 내 1회용품 문제도 언급하며, 한국장례협회 통계를 인용해 “논산시의 경우 연간 574톤의 폐기물이 장례식장에서만 발생한다”며 “이는 12톤 트럭 48대 분량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 의원은 “다회용기로 전환 시 연간 폐기물 193톤 감축, 탄소배출 533톤 감소, 소각비용 4000만원 절감이라는 구체적 수치가 나온다”며 “충남 내 여러 국립의료원과 타 시도의 장례식장도 다회용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논산시의 모든 장례식장은 1회용품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 의원은 청주시의 공공세척센터 사례를 언급하며 그 기대효과로 △폐기물 저감 △탄소 저감 △경제적 자립과 일자리 창출 △친환경 도시 이미지 제고 등을 제시했다.
특히 “2027 논산세계딸기산업엑스포를 세계 최초의 1회용품 없는 박람회로 만들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민 의원은 “이제는 다회용기로의 전환을 위한 마침표를 찍을 때”라며 공공세척센터 설립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