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효과, 국민 재충전 측면에서도 31일이 효과적”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많은 기혼 여성에게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오히려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성동구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많은 기혼 여성에게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오히려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성동구

정원오 성동구청장(더불어민주당, 3선)이 정부의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해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하려는 본 취지에 부합하도록 날짜를 신중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정 구청장은 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임시공휴일 지정 과정의 급작스러움과 그에 따른 우려를 밝히며, 31일이 더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글에서 “지정 과정이 급작스럽게 진행되면서 여러 업계와 종사자들에게 업무상 차질이 불가피하게 빚어질 점은 크게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또한, “임시공휴일 지정 배경을 두고 여러 해석이 엇갈릴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며 정책 효과와 의도를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 구청장은 27일보다는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을 때 내수 진작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명절 일정을 마치고 주말까지 휴식을 취하며 가족끼리 외식을 하거나 짧은 외출을 다녀올 가능성이 그만큼 커질 것”이라며, “소비를 촉진해 내수를 진작하겠다는 정부의 취지에도 더 잘 맞아떨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많은 기혼 여성에게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오히려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며 여성의 관점을 고려한 정책 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31일에 몰려 있을 각종 결제와 마감을 해야 할 사무직 노동자들의 부담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 구청장은 “경기 부양과 내수 진작을 위해서라도, 더 많은 국민이 명절 뒤 피로를 회복하고 일상으로 돌아올 재충전의 시간을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왕 임시공휴일을 지정하겠다면 27일보다는 31일이 더 적합하다”고 밝혔다.

정원오 구청장의 이번 발언은 임시공휴일 지정이 국민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며, 보다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한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