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동두천시 성병관리소 철거 계획 발표
8월 시민단체 공대위를 출범 및 천막 농성 시작
"국가가 성매매를 조장한 역사의 흔적을 보존해야 한다"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한국내셔널트러스트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한국내셔널트러스트

경기도 동두천시와 시민단체가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보존 여부를 두고 팽팽한 긴장을 유지하던 가운데 두 기관은 ‘대화협의체’를 구성해 대안을 찾기로 했다.

동두천 옛 성병 관리소 철거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16일 “지난 12일 동두천시와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다”며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동두천 성병관리소는 1973년부터 1996년까지 국가가 운영했던 '낙검자(검사 탈락자) 수용소'다. 성병관리소는 전국에 40곳이 넘었지만, 지금은 동두천을 제외하면 건물조차 남아 있지 않다.

성병관리소의 존치를 둘러싼 갈등은 지난해 2월 동두천시가 소요산 관광지 사업을 확대하겠다며 29억원을 들여 해당 토지를 매입하고 건물을 철거를 발표하며 시작됐다.

이에 59개 시민단체가 연대해 지난 8월 공대위를 출범하고 국가가 성매매를 조장한 역사의 흔적을 보존해야 한다며 건물 인근에서 천막 농성을 시작했다.

동두천시는 지난 10월 13일 일요일 새벽 굴착기를 동원한 기습 철거를 시도했지만, 시민단체가 막아서며 철거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기습 철거를 계기로 갈등은 더욱 고조됐다.

지난 12일 동두천시청에서 열린 비공개 간단회 사진ⓒ동두천 옛 성병 관리소 철거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지난 12일 동두천시청에서 열린 비공개 간단회 사진ⓒ동두천 옛 성병 관리소 철거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결국 동두천시는 지난 12일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대화의 장을 마련했다. 시는 기습 철거에 대해 사과하며 강제적인 철거는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 ‘대화협의체’를 구성해 대안을 찾기로 했다.

공대위는 3가지 조건을 요구했다. △성병관리소 보존을 통한 국제인권평화기념관 설립을 요청하며 소요산 관광개발 계획의 재검토 △동두천시와 시민들,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공개 토론회를 열어 합의점을 찾아나갈 것 △철거를 전제로 한 것이 아닌 철거와 보존 등 모든 상황을 열어두고 동두천시의 명확한 입장을 이야기할 것 등을 요구했다.

또 공대위는 간담회에서 성병관리소 존치는 단순히 역사적 의미를 넘어 지역 관광에도 이득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태호 공대위 고문은 “유네스코 문화재로 등록되면 미군기지 문제와 관련해서 동두천시가 어마어마한 전략적 자산을 갖게 될 것”이라고 했다.

시는 공대위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대화와 협의를 통해 성병관리소 철거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