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6일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2차 비상계엄 정황이 포착되었다며 육군에서 들어온 제보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6일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2차 비상계엄 정황이 포착되었다며 육군에서 들어온 제보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군인권센터는 복수의 육군 부대가 오는 8일까지 비상소집에 대비해 군 지휘관에 대한 휴가를 통제했다며 “2차 비상계엄의 의심 정황”이라고 밝혔다.

센터는 6일 서울 마포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복수의 부대가 상급부대 지침에 따라 중대장 이상 지휘관은 오는 8일까지 비상소집이 있을 수 있으므로 휴가를 통제한다는 지침을 지난 4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 장병의 휴가는 허락하면서, 지휘관 비상소집에 대비할 목적을 명시하여 지휘관들의 휴가를 통제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징후다. 비상소집 가능성을 열어 두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지금과 같은 시국에 상황 발생 시 부대를 통솔해야 하는 중대장 이상 지휘관급 장교들을 지속 통제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다. 심지어 그 기한이 탄핵소추안 상정 다음 날까지인 점은 의심의 소지가 충분하다”고 했다.

오는 8일은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표결되는 다음 날이기에 2차 계엄을 선포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심된다는 것이다.

센터는 “계엄이 언제나 쓸 수 있는 선택지인 세상에선 누구도 안전하게 살아갈 수 없다. 육군에도 호소한다. 국군은 국민의 군대다. 혹여라도 이 나라를 불행한 세상으로 만드는 일에 동조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센터는 “국회 역시 관련한 실태를 엄중히 파악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