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제관계 정의 추가…피해자 지원책 마련 힘쓸 것”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국회의원이 14일 교제폭력 처벌 및 피해자 보호방안 마련을 위한 ‘교제폭력 3법’(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스토킹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최근 ‘강남 오피스텔 모녀 살인’, ‘거제 교제 살인’, ‘의대생 교제 살인’ 사건 등 교제 관계 혹은 과거 교제했던 사이에서 범행을 저지르거나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교제폭력은 가해자가 피해자의 사생활 정보를 잘 알고 있고, 가해자의 보복이 두려워 피해자가 신고와 처벌을 꺼리는 경우가 많아 반복적이고 강력한 범죄로 이어질 위험성이 크다.
하지만 현행법상 교제폭력을 정의하는 별도의 법률이 존재하지 않아 가해자와 피해자를 강제로 분리하는 기본적인 보호 조치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교제폭력 피해자 중 여러 차례 경찰에 신고했음에도 법적 보호의 한계로 목숨을 잃은 안타까운 피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김한규 의원은 △교제 관계 정의를 추가해 피해자 보호 절차를 신설한 ‘스토킹·교제폭력 처벌법’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 내용 및 방법을 신설한 ‘스토킹·교제폭력 방지법’ △교제폭력 가해자에게 전자창지 부착 근거를 마련한 ‘전자장치부착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김 의원은 “그동안 교제폭력의 법적 근거가 없어 보호와 처벌 모두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며 “죽어서야 끝나는 교제폭력을 뿌리 뽑아 더 이상 안타까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책 마련에 힘쓸 것”이라며 법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반복되는 교제살인에 유족들 울분 “가해자 더 잔인해져… 국회는 입법 추진하라”
- 경찰, 국감서 뭇매...“딥페이크 성범죄·스토킹·교제폭력 대처 미흡”
- 교제폭력 피해자 4명 중 1명만 안전조치 신청…용혜인 “가해자 제재 없는 안전조치 실효성 떨어져”
- “여성들의 죽음 앞에 잠시 멈춥시다”…보신각 앞에 놓인 192켤레의 신발들
- 서울시, 스토킹 피해 지원으로 439명 일상 복귀 도와...가해자 65%가 전 연인
- 거제 교제살인 유가족 “피해자 두 번 죽이는 반성문 감형 제도 폐지해야”
- 16시간마다 1명의 여성 살해 혹은 살해 위험…공식 통계도 부재
- “우발적 아닌 계획적 살인입니다” 1인 시위 나선 거제 교제살인 유족
- 19살 효정씨는 왜 11번 신고하고도 죽어야 했나… 거제 교제살인 1년 [사건의 재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