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동두천시의 '기지촌'의 역사를 담은 성병관리소를 보존하라는 국민청원이 종료 3일을 앞두고 있지만, 2만여명의 추가 동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 2일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미군 '위안부' 기지촌에 대한 국가의 사과 촉구와 경기 동두천시 기지촌 성병관리소 철거 반대에 관한 청원’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경기도 동두천시는 8월 13일 과거 미군 ‘위안부’를 강제로 격리수용했던 옛 성병관리소 건물을 관광 개발산업의 일환으로 철거하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청원인은 “'기지촌' 성병관리소는 단순한 '흉물'이 아닌 당시 여성들에게 저질러진 국가의 폭력과 만행의 역사를 담아 보전되어야 할 장소”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가 과거를 반성한다면 역사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하여 동두천시의 기지촌 성병관리소를 철거하는 것을 막고 보존하며 피해자에게 사과와 배상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일 게시된 이 청원은 30일 오후 4시 현재 2만9천여명이 동의했다. 30일 동안 5만명의 동의를 받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돼 심의된다.

한편, 한국 전쟁이 끝날 무렵부터 1990년대 초까지 백만 명이 넘는 한국 여성들이 정부가 승인 아래 미군을 위해 성매매에 종사했다. 이 여성들은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관리되고 미군의 규제를 받았던 ‘기지촌’이라는 미군 기지 주변의 지정 구역에서 일했다. 동두천은 최대 7천명의 등록 성매매 여성이 있었던 가장 큰 규모의 기지촌이었다.
경기도 소요산 자락에 위치한 구 동두천 성병관리소 건물은 1973년부터 1996년까지 정부가 미군 성별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 설립해 운영한 시설이다. 이곳은 의무적으로 실시된 성별 검진에서 ‘낙검자’로 분류된 여성들을 수용하는 시설로 사용됐다.
미군을 위해 국가가 통제하는 성매매를 강요당한 ‘위안부’ 여성들은 관리소에 감금 돼 적절한 의학적 절차 및 검사 없이 투여된 고용량의 페니실린으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을 견뎌야 했다.
이 시설의 별명인 ‘몽키 하우스’는 구금된 여성들이 창문에 매달려 나가려고 소리치는 모습이 마치 동물원의 원숭이와 같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는 1990년대에 운영된 여섯 개의 시설 중 마지막 시설로, 현재는 폐건물로서 남아 있다. 피해자 등 진정인이 보존을 주장하는 이유다. 국가에 의한 여성인권 침해와 미군의 한반도 주둔 역사를 함께 보여주는 유일하게 남은 현장이기 때문이다.
앞서 2022년 9월 대법원은 기지촌 성병관리소를 운영한 것이 정부 주도의 국가 폭력이었고 미군 ‘위안부’ 여성들이 그 폭력의 피해자라고 인정하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