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인단체들, ‘위안부는 매춘부’ 램지어 교수 논문 철회 국제 청원
미국 한인단체들, ‘위안부는 매춘부’ 램지어 교수 논문 철회 국제 청원
  • 진혜민 기자
  • 승인 2021.02.18 13:18
  • 수정 2021-02-18 1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 철회를 촉구하는 미 동북부한인연합회의 국제청원. Change.org 청원페이지 캡처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 철회를 촉구하는 미 동북부한인연합회의 국제청원. Change.org 청원페이지 캡처

 

미국 한인단체들이 일본군‘위안부’피해자를 ‘매춘부’로 규정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논문을 규탄·철회를 촉구하는 국제 청원운동을 벌였다.

17일(현지시간) 미 동북부 한인회연합회 등에 따르면 전날 세계 최대 규모의 청원 사이트 ‘체인지’에 청원을 올리고 “램지어 교수의 역사 왜곡 논문을 규탄하며 해당 논문의 즉각적인 철회와 진정성 있는 사과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뉴욕·뉴저지·코네티컷·매사추세츠·델라웨어한인회 등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하버드대와 가까운 미 동북부 70만 한인을 대표해 이같은 내용의 성명을 한글과 영문으로 각각 게재했다.

연합회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전쟁이라는 엄혹한 시기 여성에 자행된 지독한 인권 유린이자 무자비한 성폭력”이라면서 “결코 왜곡돼서는 안 되는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진실”이라고 역설했다.

이들은 온라인 서명을 받아 하버드대 로스쿨과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출간하는 국제법경제리뷰(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ics)에 각각 전달할 전망이다.

연합회는 이날 오후 뉴저지주 클리프사이드파크 인근에 세워진 위안부 기림비 앞에서 ‘역사왜곡 논문 철회 촉구’ 궐기대회도 개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인원 제한으로 각 한인회 대표자 15명이 참석해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성명서를 낭독했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도 이달 초 같은 사이트에서 램지어 교수 논문의 철회를 요구하는 국제 청원을 시작했다. 2만5천명을 목표로 진행 중인 반크의 청원에는 이날 오후 현재 서명자가 1만5천명을 넘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