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개발구상안  ⓒ서울시 제공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개발구상안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를 최대 60층 규모의 복합단지로 개발하기로 하고 신계와 사전협상에 들어갔다.

서울시는 26일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 개발과 관련해  복합개발과 관련해 ㈜신세계센트럴, 서울고속버스터미널㈜가 제안한 복합개발안에 대해 본격적인 사전 협상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9월 면적 14만6260.4㎡에 이르는 부자 개발을 위해 두 사업자를 달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했다.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개발계획(안)에 따르면 노후화된 경부·영동·호남선 고속버스터미널을 지하로 통합하고 현대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상부에는 업무․판매․숙박․문화․주거가 결합된 입체복합개발을 통해 세계 미래융합교류거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미래융합교류거점 조성을 위해 ▲공항–한강–전국을 한 축으로 연결하는 ‘미래교통거점’ 구축, ▲세계기업과 미래 혁신산업이 만나는 ‘신성장 중심지’ 조성, ▲서울대표 녹지축 및 문화축을 연결하는 ‘녹지문화거점’을 조성하는 내용이다.

최고 높이는 지상 60층 이상이 될 전망이다. 시는 개발 계획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역 차원의 교통개선 대책과 지역 필요 시설에 대해 검토하고 그 밖에 지역균형발전 방안에 대해서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개발대상지가 한강 이남 유일의 3·7·9호선 역세권으로 도심 및 공항까지 뛰어난 접근 및 연결성을 확보하고 한강변이라는 입지적 차별성을 가지고 있어 그 개발 파급력은 상당할 것으로 서울시는 예상했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아침은 서울, 점심은 부산' 시대를 열며 대한민국의 시공간 개념을 바꾼 국가 대표 교통거점으로 시작했다.

2000년대에는 센트럴시티 복합개발을 통해 업무·숙박·상업·문화 기능을 더하며 강남의 일상과 소비, 문화를 이끌어왔다.

50년 가까이 되는 노후한 건축물과 부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차 공간은 보행 단절과 도시 침체의 원인이 됐고, 주민들은 고속버스 진출입으로 인한 교통체증과 대기오염·소음 같은 피해를 호소해 왔다.

터미널과 연결된 고속터미널역 3·7·9호선의 불편한 동선 체계 등의 구조적인 한계가 누적돼 안전·환경·이동 편의 측면에서 전면적 개편이 필요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