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형·큐브 위성 13기 탑재
첫 민간 제작 발사체…한화에어로스페이스 첫 주관

민간 주도로 제작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발사준비를 끝내고 27일 새벽 발사된다.
26일 우주항공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우뚝 선 채로 최종 점검을 받는다.
최종 점검에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예정된 시간에 발사가 진행된다. 예정된 4차 발사 시각은 27일 오전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다.
전날 기립을 완료하는등 발사 준비를 마쳤다.
항우연은 누리호에 전원 및 추진제(연료, 산화제) 등을 공급하기 위한 엄빌리칼(연료공급선) 연결 및 기밀점검(연료, 산화제 누설 여부 확인) 등 발사 준비 작업을 했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7일 오전 0시 55분께 누리호 4차 발사에 나선다.
누리호의 이번 임무는 고도 600㎞에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를 올리는 것이다.
발사 운용이 시작되는 26일은 연료와 전기 계통을 중심으로 모든 부분을 종합 점검한다.
우주청은 이날 오후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누리호 추진제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또 기술적 준비 상황, 발사 윈도우, 기상 상황, 우주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등을 종합 검토해 누리호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할 예정이다.
발사시간이 결정되면 4시간 전부터 연료와 산화제 주입을 위한 절차를 시작한다. 연료인 케로신(등유)과 산화제인 액체 산소 충전을 위한 준비를 마치면 기립 장치를 제거한다.
발사 전까지 모든 기기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확인되면 발사 10분 전부터는 발사자동운용(PLO)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이때부터는 자동으로 준비 작업이 이뤄지며 1단 엔진이 추력 300t에 도달하면 지상 고정장치 해제 명령이 내려진다.

누리호는 이륙 2분 5초 이후 고도 63.4㎞에서 1단이 분리된다. 3분 54초 후에는 고도 201.9㎞에서 페어링(위성보호 덮개)이 분리된다.
발사 후 4분 32초가 지나면 고도 257.8㎞에서 2단이 분리되고 3단 엔진이 가동된다.
이후 고도 600.2㎞에 오르면 발사 13분 27초 후 위성 분리가 시작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부터 분리를 시작하며, 이후 부탑재위성인 큐브위성 12기가 2기씩 약 20초 간격으로 사출된다.
각 위성이 궤도에서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간격을 둔다.
사출 순서는 세종대·쿼터니언, 우주로테크·코스모웍스, 코스모웍스·인하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한컴인스페이스, 서울대·스페이스린텍,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항우연 위성 순이다.
위성을 다 분리하면 누리호는 위성과 충돌을 막기 위한 회피 기동 및 남은 연료를 배출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발사 21분 24초 만에 비행을 마치게 된다.
향후 누리호는 궤도를 돌다 지구 중력에 의해 다시 대기권으로 진입해 불타 사라지게 된다.
이번 4차 발사 위성은 민간 기업이 구성품 참여업체 관리부터 단 조립 및 전기체 조립 등 제작 전 과정을 주관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누리호 제작을 처음 주관하며 정부 주도 우주개발이 민간으로 전환하는 상징이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