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이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지역에 긴급 방역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국이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지역에 긴급 방역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충남 당진의 한 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해 48시간 동안 이동중지명령이 내려졌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5일 충남 당진시 소재 돼지 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됐다고 밝혔다.

중수본은 이날부터 전국 모든 지역에 대한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향했다.

중수본은 농장 간 수평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발생 지역을 포함한 전국에서 이날부터 48시간 동안 돼지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 관계시설 종사자와 차량에 대한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이는 지난 9월 경기 연천군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인된 이후 2개월 만에 추가로 발생한 것이며, 올해 여섯 번째로 확진된 사례다. 충남에서는 처음으로 발생했다.

중수본은 초동방역팀과 역학조사반을 현장에 투입해 농장 출입을 통제하고 살처분과 소독,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당진과 서산, 예산, 아산 등 인접 3개 시군 돼지농장 313곳과 주변 도로에도 광역방제기와 방역차 31대를 동원해 소독을 강화하고 있다.

또 발생 농장 반경 10km 방역대 내 30개 농장, 그리고 역학관계가 있는 106개 농장을 대상으로 긴급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충남에서 발생한 만큼 전국적인 확산 가능성이 있다며 모든 지자체에 예찰과 소독 강화를 지시했다.

중수본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추가 발생과 수평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방역대와 역학 관련이 있는 돼지농장 136곳에서 1·2차 임상검사와 정밀검사를 7일 이내에 마무리하고 이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매주 1회 임상검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권역화 지역 내 농장에서 도축장 출하 등 돼지 이동 시마다 임상·정밀검사를 실시하고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위험지역 농장 이상 유무를 매일 전화로 점검하기로 했다.

중수본은 이번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으로 살처분되는 돼지는 1423마리로 전체 사육 마릿수(1194만7천 마리)의 0.01% 이하로 돼지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지만 앞으로 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