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두루미 8180마리 도래 역대급 월동

순천만 흑두루미에 대한 연구가 국내 최초로 국제 전문학술지(SCIE)에 등재됐다. 흑두리미에 관한 연구가 지난 12일 국제학술지 PLOS ONE에 게재됐다. 순천만 흑두루미 월동모습. ⓒ순천시
순천만 흑두루미에 대한 연구가 국내 최초로 국제 전문학술지(SCIE)에 등재됐다. 흑두리미에 관한 연구가 지난 12일 국제학술지 PLOS ONE에 게재됐다. 순천만 흑두루미 월동모습. ⓒ순천시

(순천=여성신문) 장봉현 기자 = 전남 순천만 흑두루미에 대한 연구가 국내 최초로 국제 전문학술지(SCIE)에 등재됐다.

21일 순천시에 따르면 흑두리미에 관한 연구 성과가 지난 12일 국제학술지 PLOS ONE에 게재됐다. 관련 연구가 국제 저널에 실린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이번 연구는 흑두루미와 기러기류의 서식지 이용 패턴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순천시가 추진해 온 먹이 제공 정책과 서식지 관리가 두 종의 안정적 공존을 가능하게 한 핵심 요인임을 규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전남대학교 이주현 박사는 “순천만은 그 자체로도 보전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지만 흑두루미 종 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지닌 곳”이라며 “20여 년간 순천만을 찾아온 흑두루미를 연구하고 그 성과를 국제 학술지에 발표한 이번 사례는 국내외 철새 보전 정책 수립에 매우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지난 20일 기준 순천만 흑두루미 도래 개체수는 8180마리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 순천만 흑두루미는 탐조대 기준 100~150m까지 접근했으며, 최근에는 소규모 무리가 70m 거리까지 내려와 안정적으로 먹이활동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다. 

특히 희망농업단지 전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며 먹이활동을 이어가고 있어 순천만의 서식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순천시는 올 하반기 흑두루미 위치추적 연구를 통해 이동 경로, 먹이활동 범위, 휴식 패턴 등 정밀한 생태 데이터를 확보할 예정이다. 축적된 자료는 향후 국제협력 확대와 세계유산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국내 최초 흑두루미 연구의 국제 학술지 등재와 사상 최대 월동 개체군 확인은 순천만 보전정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과학적 연구에 기반한 체계적 서식지 관리를 강화해, 세계가 주목하는 철새 보전 선도 도시로서 순천만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