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17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월 말 발표한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가결했다.
안보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팔레스타인 문제를 의제로 공식회의를 열어 15개 이사국 중 비상임 이사국인 한국을 포함한 13개국 찬성으로 가자지구 평화구상 지지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상임이사국 중 러시아와 중국은 기권했다.
안보리 결의안이 통과하려면 안보리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하고 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 5개 상임이사국 중 어느 한 곳도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한다.
러시아는 미국안과 별개로 별도의 가자지구 결의안을 추진해 이번 결의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거론됐지만, 아랍 지역 및 무슬림 국가의 지지를 고려해 기권을 표했다.
미국이 작성한 이번 결의안엔 하마스의 무장해제와 군사시설 파괴를 포함해 비무장화 과정을 보장할 국제안정화군 파견도 담겨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20개 항목의 가자지구 계획이 첨부됐다.
회원국이 가자지구 재건과 경제 회복을 감독할 과도 기구인 평화위원회에 참가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 소셜에 "조금 전 유엔 안보리 이사회가 자신이 제안하고 전세계의 위대한 지도자들이 지지한 평화안을 통과시켰다"며 "전 세계에 축하한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이는 유엔 역사상 가장 큰 승인 중 하나로 기록될 것이며, 전 세계적으로 평화를 더욱 발전시키는 진정한 역사적 비중을 차지하는 순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유엔을 비롯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알제리, 덴마크, 그리스, 가이아나, 한국, 파키스탄, 파나마, 시에라리온, 슬로베니아, 소말리아에 감사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카타르,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요르단 등 이 위원회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강력하게 지원한 국가들에게도 감사드린다. 이사회 회원국들과 앞으로 몇 주 안에 더 많은 흥미로운 발표가 있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안보리는 이번 결의에서 과도 통치기구인 평화위원회(BoP)의 설립을 승인하고, 유엔 회원국들이 가자지구 내 '임시 국제안정화군'(ISF)을 배치할 수 있도록 했다.
평화위원회는 가자지구 평화구상에서 제시된 가자지구 과도 통치기구로, 과거 2차 세계대전 후 한국을 포함한 식민 지배 국가들을 상대로 이뤄진 유엔의 신탁통치 기구와 유사하다. 미국은 앞서 평화위 수장을 트럼프 대통령이 맡는다고 밝혔다.
